|
|
|
↑↑ '지장보살본원경'. |
|
|
|
|
↑↑ '대구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 |
|
대구시가 '지장보살본원경', '대구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 '대구 동화사 내원암 칠성도' 3건을 대구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유형문화재 제93호 '지장보살본원경'은 줄여서 '지장경'이라 부르기도 하는 지장신앙의 기본경전이다. 이 책은 당나라의 법등(法燈)이 번역한 것으로 권말의 간행 기록으로 보아 세종의 둘째딸인 정의공주가 죽은 남편 안맹담의 명복을 빌기 위해 예종 1년(1469) 간행한 도성암(道成菴) 판본을 바탕으로 명종 17년(1562) 황해도 중암(中庵)에서 다시 새긴 판본인 것을 알 수 있다.
바탕이 된 판본이 왕실의 지원을 받은 관계로 다시 새긴 판본에서도 그 원래 판본의 장엄한 모습을 엿볼 수 있고 현재까지 중암에서 다시 새긴 판본은 이 책이 유일한 것으로 추정되며, 인출시기도 임진왜란 이전으로 추정되는 서지학적으로 귀중한 자료다.
특히 유형문화재 제94호 '대구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은 상반신이 긴 신체비례에 장방형 얼굴, 당당한 어깨와 넓은 무릎의 균형미, 화려하고 정교한 보관 등이 돋보이는 불상이다.
이 불상의 제작과 관련된 기록은 없으나 양식적 특성상 조선시대 17세기 전반기에 당시 대표적인 조각승 중 한명인 청허(淸虛) 혹은 청허 계보의 조각승이 제작한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조각적 작품성이 우수하고 조선후기 불교조각의 흐름과 청허 계보의 조각승 연구에도 도움이 되는 등 사료적 가치도 높다.
또 유형문화재 제95호 '대구 동화사 내원암 칠성도'는 치성광여래삼존도 1폭과 칠성여래를 각 폭에 나눠 그린 7폭 등 모두 8폭으로 구성된 그림이다. 치성광여래삼존도의 하단 화기(畵記)를 통해 1876년 팔공산 동화사 내원암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된 칠성도로, 수화승 수룡당 대전을 비롯한 의관, 보화, 관행 등이 참여해 그렸음을 알 수 있다.
이 칠성도는 인물 표현과 장식 등의 묘사가 특히 돋보이고, 현존 칠성도 가운데 치성광여래와 칠성여래를 각 폭에 나누어 그린 각부도(各部圖) 형식의 칠성도가 많지 않은 점과 19세기에 성행했던 칠성 및 염불신앙 그리고 수룡당 기전의 초기 화풍과 도상 연구에 중요한 작품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박희준 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이번 지정으로 대구시는 총 286건의 문화재를 보유하게 됐다”며 “특히 앞으로도 지속적인 문화유산의 발굴과 조사를 통해 유무형의 문화재를 후손에게 널리 전승하고 지역 문화발전에 모든 지혜와 역량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황보문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