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경제

수주 카타르 진출 건설사 ‘비상’

도하(카타르)=뉴스 기자 입력 2017.07.17 16:32 수정 2017.07.17 16:32

단교 사태 장기화…국내 건설사, 프로젝트 지연 ‘촉각’단교 사태 장기화…국내 건설사, 프로젝트 지연 ‘촉각’

"쌓아둔 자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교 사태가 이렇게 장기화될지 몰랐는데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어 걱정입니다. 아직 원산지가 사우디아라비아나 아랍에미리트(UAE) 등이 찍힌 물품은 3국을 거쳐 들어오는데 이마저도 (추가 제재로) 금지되면 타격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카타르 현지진출 국내건설사 관계자)카타르 단교 사태가 한 달 이상 장기화되고 있다.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이슬람 수니파 국가와의 갈등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최근 카타르에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국내 건설사들은 비상이었다. A건설사 현지 관계자는 "사우디와 UAE 외에 오만, 이란, 터키 등 조달 국가를 다변화하고 있다"며 "재고가 있어 당장 영향은 없으나 (단교 사태가) 10월까지 이어지면 쌓아둔 물자가 떨어져 (추가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재 카타르에서 국내 건설사들이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총 26건 110억달러 규모다. 회사별로 현대건설이 루사일 고속도로 공사, 국립박물관 신축공사 등으로 가장 많고 이어 대우건설(뉴오비탈 고속도로 공사) 순이다. 이 밖에 GS건설과 SK건설도 각각 지하철 공사를 수주해 진행하고 있다. 단교 사태 이후 건설사들이 가장 촉각을 세우고 있는 부분이 바로 자재수급 현황이다. 건설사별로 상황은 조금씩 다르지만 자재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자칫 공사가 지연될 수 있어서다. 카타르로 반입되는 철근과 콘크리트, 조골재 등 건설 자재들은 대부분 사우디 국경을 거쳐 육상으로 운송되거나 두바이를 통해 해상으로 넘어온다. B건설사 현지 자재담당은 "그동안 항공편으로 며칠이면 오던 것들이 터키나 쿠웨이트, 오만 등을 거쳐서 오다보니 일주일 이상 걸리고 해상의 경우 일주일 걸리던 것들이 한 달 이상 걸리기도 한다"고 며 "7월 말까지는 여유가 좀 있는데 그 이상 조달에 차질이 생기면 전체 공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공사기간 준수는 현지 발주처와 관계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이다. 실제 국내 모 건설사의 경우 기한 내에 공정을 마무리 짓지 못해 쫓겨나다시피 카타르에서 철수했다. 또 공사가 지연되면 자연스럽게 공사비도 늘어나는데 이는 발주처와 별도의 협의가 필요해 시공사 입장에선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카타르 단교와 관련해서 현지 건설업계의 주요 관심사가 바로 이 부분이라는 전언이다. B건설사 관계자는 "국내 건설사뿐 아니라 카타르 내에서 공사가 많기에 외국 건설사들도 많다"며 "일부는 이번 단교를 천재지변 수준으로 볼 수 있어 공사비 증액 등을 요구할 수 있으나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상당수"라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이 문제가 나중에 지역 내 주요 현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정부 역시 이번 단교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주 카타르 한국대사관은 지난 5일 현지 국내건설사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또 국토교통부도 현지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건설자재 공급차질로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 기업들은 발주처에 공문발송 등을 통해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클레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사우디 등 이슬람 수니파 9개국은 카타르가 테러조직을 지원한다는 명목으로 단교를 선언했다. 이후 사우디, UAE 등 4개국은 이란과의 단교, 카타르 주둔 터키군 철수, 카타르 국영 알자지라 방송국 폐쇄 등 단교 해제를 위한 13개 요구안을 제시했다. 이후 카타르는 13개 요구안을 거부하는 등 단교 사태가 한 달 이상 장기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10일 단교 사태를 풀기 위해 나흘 일정으로 카타르, 사우디 등 아랍국 순방에 나섰다. 도하(카타르)=뉴스1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