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보건대 치기공학과 손동혁씨<사진>가 제52회 치과기공사 국가고시에서 전국 수석을 차지했다.
손 씨는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이 최근 발표한 이번 시험에서 305점 만점에 299점을 획득해 전국 치기공학과 21개 대학에서 응시한 수험생 910명 중에서 1등으로 합격했다.
손동혁씨 대학생활 시작은 평범하지 않았다. 과거 2014년 경북대 전자공학부에 입학했던 손 씨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고민 끝에 2018년 학업을 중단했다. 이후 여러 분야에 도전하며 자신의 길을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프로그래밍 부트캠프, 아르바이트를 시작으로 창업까지 다양한 경험을 쌓았지만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던 시절도 있었다.
그러나 손 씨는 좌절하지 않고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부모 권유로 조금씩 치과기공사에 대한 관심을 키워갔다. 치기공학과는 개인사업자 설립 가능성, 해외 진출의 유리함,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성 등 안정적 직업으로의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매력에 끌린 손 씨는 2022년 대구보건대 치기공학과에 입학하며 인생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입학 이후 손동혁 씨는 치기공학만의 독특한 매력에 빠져들었다. 치기공학은 치아를 대체하는 보철물을 제작하고 연구하는 분야로, 0.1mm 이하의 섬세한 정밀도를 요구하는데 인간의 눈으로는 관찰하기도 어려운 작은 오류를 관리하고 제어해야 하는 이 과정은 손 씨에게 큰 흥미를 불러 일으켰다.
그는 치과 보철물이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사람의 삶의 질을 높이는 의료의 중요한 한 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의 캐드캠 기술이나 재료공학으로도 보철물의 완벽한 정밀도를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그 과정을 배우고 연구하며 발전시키는 일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또한 의료 기술의 발전 속에서 치과 영역 역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방법이 계속 진화하고 있는 점에 감명을 받았다. 치과 보철은 단순히 잃어버린 치아를 대체하는 게 아니라, 원래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술로 나아가고 있고 이런 변화를 직접 배우고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손동혁 씨는 “치과 보철물의 신뢰성과 정밀도를 높이는 연구에 도전하고 치기공 기술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