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사회

대구서 규모6 지진 나면?…사상자 60만, 손실비용 36조

예춘호 기자 입력 2016.07.07 20:26 수정 2016.07.07 20:26

대구지역 민간 건축물 내진설계 비율 27% 불과대구지역 민간 건축물 내진설계 비율 27% 불과

리히터 규모 5의 울산 지진으로 국민적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진에 취약한 대구지역에서 규모 6의 지진이 일어날 경우 60여만명의 사상자와 36조원의 보수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됐다.이는 국민안전처가 지난해 4월 지진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예측 연구자료를 토대로 계산한 결과다.연구 자료에 따르면 대구지역에서 지진 발생시 예상 보수비용은 규모 6일 때 36조5800억원, 규모 6.5일 때 120조 6300억원, 규모 7일 때 182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지진 피해로 기업의 재고 등 손실비용은 1724억원(규모 6)~1조3212억원(규모 7 기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지진 규모에 따른 부상자 수는 3500명(규모 6)~59만6500명(규모 7), 사망자 수는 1명(규모 6)~4844명(규모 7)으로 예측됐다. 학계에서는 아직까지 한반도 내륙에서 규모 6~7 이상의 지진 발생 가능성 여부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이때문에 대구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와 국민안전처 등은 지진 발생시 대응시스템 구축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기초 데이터 구축을 위한 목적으로만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지역의 한 지질 전문가는 "지진이 발생할 때마다 언론보도 등으로 관심이 집중되면서 불안감만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다"면서 "현실적으로 지금의 과학기술로는 지진 발생 시기 등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한 만큼 지나친 우려 보다는 지진 발생시 대피 등 대처 요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대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한편 2004년 이후 전국에서 관측된 613차례의 지진 중 리히터 규모 4~4.9는 8차례, 5 이상은 2차례다.대구·경북지역에서는 2004년 이후 12년 동안 129차례 지진이 관측됐는데 규모 4~4.9 1차례, 5 이상 1차례다.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년 이래 대구지역에서 발생한 10차례의 지진 중 2004년 4월26일 오후 1시29분 대구 서남서쪽 40km 지점의 리히터 규모 3.9가 가장 크다. 대구지역에서 리히터 5~6 규모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공공시설물은 절반 가량, 민간 건축물은 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일본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지진 보다 훨씬 약한 규모에도 대구의 공공시설물 2곳 중 1곳, 민간 건축물 4곳 중 3곳이 견딜 수 없는 셈이다.6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개정된 건축법에 맞춰 내진 기능을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공공시설물 1358곳 가운데 내진설계가 된 곳은 47.8%인 512곳이다.공공시설물 중 3층 이상, 연면적 500㎡ 이상 건축물 446곳 가운데 338곳, 도로시설물 129곳 중 96곳, 도시철도시설 191곳 가운데 112곳, 폐수종말처리시설 6곳 중 5곳, 수도시설 160곳 중 90곳은 내진기능을 갖추지 않았다.단독주택의 경우 내진적용 대상 3만6616곳 중 26%인 9490곳, 공동주택은 1만3430곳 중 40%인 5342곳, 학교는 1181곳 중 32%인 381곳, 공공업무시설은 451곳 중 25%인 114곳만 내진기능을 갖추고 있다.대구시는 공공시설물의 내진 보강을 강화하고 지진이 발생할 경우 시설물의 안정성 확인과 피해평가 등을 위해 2018년까지 지자체 청사 등 12곳에 지진 가속도계 설치할 계획이다.또 민간건축물의 내진 보강을 유도하기 위해 내진설계 의무대상이 아닌 민간 건축물이 내진 보강을 하거나 신축, 대수선을 할 때 취득세와 재산세를 감면해 주고 있다. 대구/예춘호 기자 sm1113@hanmail.net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