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국내 방폐물 처분 유관 9개 학술단체 관계자들이 방사성폐기물 처분 학술단체 협의회 2025 제2차 공동 워크숍에서 연구용 URL의 효과적 활용 방안을 주제로 토론을 펼치고 있다.<한국원자력환경공단 제공> |
|
|
 |
|
↑↑ 조성돈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오른쪽 다섯번째)과 학술단체 전문가들이 방사성폐기물 처분 학술단체 협의회 2025 제2차 공동 워크숍에서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한국원자력환경공단 제공> |
|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하 공단)과 ‘방사성폐기물 처분 학술단체 협의회’와 공동으로 지난 5일, 6일 합동 워크숍을 개최했다. 강원 태백시 오투리조트에서 개최된 이번 워크숍에는 원자력‧지질‧건설 분야 등 9개 학술단체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했다.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정재학 학회장은 “고준위 방폐물 처분사업은 다학제적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국민과 소통은 물론, 원자력과 지질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암반공학회 이승원 학회장은 “이번 워크숍이 단순한 토론을 넘어 학문, 실무, 정책을 아우르는 진정한 소통의 장이 되어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동균 태백시 부시장은 “전문가들이 함께 고민하는 모습 자체가 집단 지성의 힘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며, “석탄 도시에서 무탄소 에너지 도시로 전환 중인 태백시가 전문가들의 지혜를 모아 100년 미래를 건설하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성돈 이사장은 “본격 사업추진을 앞둔 시점에서 오늘 워크숍은 공단은 물론 우리나라 각 분야의 역량을 재정비하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말하고 “협의회의 풍부한 식견과 경험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워크숍 1일차(5일)에는 ‘고준위 방폐물 관리시설 부지가 갖춰야 할 지질 특성’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2일차(6일)에는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의 효과적 활용 방안’을 주제로, 태백에 건설될 연구용 URL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이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