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찰칵! 온가족 사랑+사진, 숏폼 영상 공모전 최우수작 김태정씨의 사랑 울타리.<청도군 제공> |
|
청도군이 지방소멸위험지수 0.11로 소멸 고위험 지역에 해당하며, 전체 인구 4만여 명 중 고령인구 비율이 45.3%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 대비 32.4% 증가한 수치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의 활력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청도군은 젊은 세대의 정착과 귀농·귀촌 인구 유입을 목표로 차별화된 정책을 적극 추진하며 지역 활력 회복에 나서고 있다.
2025년 행안부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를 받아 역대 최대 규모인 160억 원 기금을 확보했고, 2022년~2025년까지 472억 3,800만 원에 달하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확보했다.
최근 청도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과 군비 35억 원을 투자해 어린이를 위한 물놀이장인 빛나래상상마당을 7월 25일 개장해 3주 만에 1만여 명 이용객이 방문하는 등 지역 주민뿐 아니라 외부 관광객 유입을 촉진하고 있다.
또한, 청도군은 2025년 행정안전부 고향올래 사업과 경북도 인구활력 공모사업을 통해 27억 원 이상 예산을 확보했으며, 민간자본 2,500억 원을 포함 3,500억 원을 투자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인 청도자연드림파크가 조성되면 1000명 이상의정주 인구 유입과 700여 개 일자리 창출이 기대돼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전망이다.
아울러, 청도군은 1인당 최대 2억 5,700만 원 상당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정책을 통해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실질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귀농정착금, 신혼부부, 청년, 임신·출산 가정을 위한 지원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24시간 아이돌봄 서비스, 월 1만 원대 임대주택에서 월 10만 원대 임대주택까지 146호 주거와 출산·양육에 집중 지원해 지역에 유입된 인구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그 결과 행안부 발표에 따르면 청도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의 7.8배를 초과하는 34만 명으로 경북내 1위, 전국 7위를 기록하며 경북내에서 생활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2024년 12월에 발표한 경북도 시·군 장래인구추계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도 전체 인구는 20년 후에 약 10% 정도 감소하지만 청도군은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의한 2025년 1분기 청도 방문객 수는 254만 명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한 수치를 기록하며 청도군의 높은 발전 가능성을 증명했다.
김하수 군수는 “청도군이 소멸이 아닌 성장의 미래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청년과 신혼부부, 임신·출산 가정에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지원해 청도가 누구나 살고 싶은 매력적 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