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국토의 균형발전이다. 이를 성취하는 가장 빠른 길은 교통 균형의 유지이다. 자동차는 도로가 사통팔달로 가야한다. 또한 철도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하늘 길을 위한, 공항이다. 공항은 사람들을 빠르게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게다가 물류의 빠른 움직임에 따라 자본을 창출한다. 여기에 비례하여,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다.
현재의 대구공항은 민·군이 함께 사용하기에, 시대의 흐름을 우리가 바라는 만큼 되지 않았다. 이에 신공항의 필요성이 절실했다.
통합신공항은 대구광역시청으로부터 직선거리로 약 47km떨어진, 경북도 군위군 소보면, 의성군 비안면 지역에 기존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K-2공항을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이전한다. 대구국제공항의 민간공항을 기존 부지와 시설의 매각대금을 활용하여, 이전하는 방식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군 공항 이전은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추진된다. 민항 부분은 공항시설법에 따라 추진된다. 겉보기에는 군 공항 이전과 민간공항 이전이 동일한 사업으로 보이지만, 엄연히 별개의 사업이다. 군 공항 이전은 국방부와 대구시가, 민간공항 이전은 국토부와 한국공항공사가 각각 추진한다. 다만 별개의 사업으로 추진될지라도 동시에 건설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경북도는 통합신공항이 대구·경북의 재도약과 국가균형 발전 실현의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이어 국토교통부를 방문하는 등 발 빠른 행보를 계속해 나갔다.
지난달 18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국토교통부 변창흠 장관을, 지난달 23일에는 손명수 2차관을 직접 만났다. 이 자리에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과 관련한 도로·철도에 대한 적극적인 중앙차원의 지원을 건의했다.
지난달 30일에는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가 국토교통부를 방문해, 성공적인 공항 이전을 위한 협의체 구성 등을 건의했다. 이날 하대성 경북도 부지사는 주종완 공항정책관 등 국토교통부 공항관련 관계자를 만나, 대구·경북이 군 공항 이전이라는 국가난제를 전국에서 최초로 유일하게 수용한 만큼, 정부의 역할과 전폭적인 지원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장거리 운항이 가능한 활주로 등 장래 항공수요 1,000만 시대를 대비한 스마트 공항건설, 경제·물류공항 기능을 수행할 화물 터미널(26만 톤)설치, 공항 접근성 향상을 위한 도로·철도 등 광역 교통망 확충 등을 ‘제6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반영하여 줄 것을 제의했다. 또한 국토부, 국방부, 대구시, 경북도가 나눠 추진하는 군·민 공항 이전과 공항신도시 건설 간, 연계협의로 원활한 사업추진이 될 수 있도록 관련기관으로 구성된, ‘협의체 구성’을 건의 했다. 현재, 국토부·대구시·경북도 등 관계기관에서는 기본계획 등 관련용역을 추진 중이다. 금년 말에는 용역 결과가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에서는 관련기관 협의체가 구성될 경우 관련사업의 추진은 물론 도로·철도 등 통합신공항 접근성 개선을 위한 SOC분야 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2016년 7월 정부의 대구공항 통합이전 계획 발표가 계기였다. 숙의형 시민의견조사, 주민투표 등을 거쳐, 지난해 8월 군위 소보·의성 비안(15.3㎢)으로 이전지가 결정됐다. 민·군 공항 건설 10조 원 이상, 신공항 연계교통망 구축 12조 원 등이 투입되는, 대역사로 2028년 개항을 목표로 추진된다.
통합신공항은 가덕도에 비하면, 대경·경북권의 민심에 따르면, ‘동네공항’에 그친다는 여론이다.
정부는 이와 같은 지역의 민심을 살피지 못한다면 여론처럼 통합신공항은 동네공항에서 ‘골목공항’에 그친다. 이 대목에서, 정부에 거듭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