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백두대간권 글로벌 그린벨트 조성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21.06.20 18:24 수정 2021.06.20 18:24

자연(自然)은 산, 강, 바다 등 생명력을 가진다. 스스로 생성, 발전한다. 주로 인간의 유전적 성질 전체나 환경에 따른 성질을 가리킨다. 인간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그대로의 현상과 그에 따른다. 산, 바다, 호수, 강과 같은 자연 환경이다. 자연에 이와 같은 의미가 포함되었다면, ‘사람도 자연의 안’에서, 자연환경과 하나 되는 일상생활을 영위해야 한다.
이때 가장 좋은 것은 자연과 사람이 하나가 되는 상황이다. 백두대간(白頭大幹)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한반도의 가장 크고 긴 산줄기이다. 백두대간은 한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에서 시작된다. 동쪽의 해안선을 따라, 남쪽으로 뻗는다. 남쪽 내륙의 지리산에 이른다.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선 백두대간이라 함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설악산·태백산·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다.
우리나라 전국의 산맥의 흐름과 산의 위치 등을 표로 정리해 놓은 지리책인, 산경표(山經表)에 따르면, 백두산부터 원산, 함경도 단천의 황토령, 함흥의 황초령, 설한령, 평안도 영원의 낭림산, 함경도 안변의 분수령, 강원도 회양의 철령과 금강산, 강릉의 오대산, 삼척의 태백산, 충청도 보은의 속리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진다.
지난 17일 도에 따르면, 영주시 소수서원에서 백두대간권 발전계획에 관심 있는 일반 도민, 대구경북연구권, 도청 및 시·군 담당자 등 70여 명이 참석하여, ‘백두대간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당초 2020년이 유효기간인,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이 2030년으로 연장됐다. 이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 관광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도 차원에서 이를 구체화하여, 시·군의 체계적인 개발계획 수립에서, 도민 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백두대간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은 국가발전을 위한 성장축으로 6개 도(道)인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이 공동연구단을 구성해 수립했다. 지방소멸 확산, 지역경제 어려움 가속화 등 사회경제적 여건을 극복하기 위한 발전전략계획을 시·군, 연구기관과의 제안과 협의로 마련됐다. 향후 일정은 6월 말까지 6개도 공동으로 국토부에 종합변경 입안 및 승인 요청한다. 국토부에서 결정고시 이후, 관련 중앙부처, 지자체에서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에 수립한, ‘백두대간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은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글로벌 그린벨트 비전이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글로벌 명소화 플랫폼 구축, 사람·자원·공간의 연결성 확대, 백두대간 주도의 고도화 및 특화 생태계 조성을 3대 목표로 설정했다. 공간 구상 계획으로는 한반도 최대 생태축인 백두대간을 보존한다. 이용으로 새로운 성장거점을 구축한다. 특화 방향으로는 2대 벨트를 설정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는 탄소경제, 기후변화시대 등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중심 거점화로 추진한다. 생태명소 벨트조성, 산림 자원의 활용으로 융복합형 신산업 벨트 조성이 제시됐다.
2030년 준비를 위한 3대 거점 지역설정(안)에선, 경북지역에 해당되는 중부(안동, 영주, 김천, 상주, 문경, 예천, 봉화, 충북 일부)는 지역 고유 자연자원 및 문화유산 이용으로 국내를 대표하는 문화융합형 자연 문화유산 관광 거점지역으로 만든다. 백두대간 북부(강원:태백, 홍천, 평창, 정선, 인제)는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웰니스 관광의 거점지역으로 조성한다. 전라남북도 일부 백두대간 남부 지역은 체험형 생태관광 거점 지역으로 육성한다.
백두대간의 발전계획은 거대 담론이 아니다. ‘사람·자원·공간’의 연결성이라면, 그냥 자연 그대로 두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다. 경북도 등은 백두대간권역을 그대로 두는 것에서부터, 발전계획을 다듬길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