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환경부 공모 ‘도시 생태축 복원사업’ 구미·의성 선정됐다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21.10.13 19:00 수정 2021.10.13 19:00

1960년대부터, 우리는 고도성장을 추구하여, 오늘에 이르게 됐다. 그 과정에서 공업화로 환경문제가 발생했다. 이상기후도 우리의 참된 삶을 위협했다. 이제부턴 이런 문제를 하나하나씩 푸는 것이 우리들 앞에 닥친 문제다. 더구나 인구도 도시로 물려들었다. 이게 도시화를 불렀다. 이런 모든 문제를 풀기위해선, 생태축의 복원이다. 지금은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 산다. 2050년에는 약 100억 명의 인구 중 70%가 도시에 거주할 것이다. 기계 발명과 기술 혁신을 토대로 한, 산업혁명은 우리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다. 1차 산업 위주의 농업사회가 2차 산업 중심의 산업사회로 변하면서,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인간의 주된 거주 공간은 촌락에서 도시 중심으로 바꿨다.
지구 생태용량 초과의 날은 물, 공기, 토양 등 자원에 대한 인류의 수요가 지구의 생산 및 폐기물 흡수 능력을 초과하는 시점을 일컫는다. 생태용량 초과의 날을 맞이하면, 바다와 숲이 흡수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 게다가 더 많은 나무까지 자른다. 지구가 생산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물을 사용한다. 미래 세대에 생태적 빚을 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거대 담론에서부터 출발하여, 생태축 복원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지난해 세계자연기금보고서에 따르면, 생태축 훼손이 한국의 경제적 손실이 2050년까지 12조 원에 이른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에 생태도시는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지구 환경보전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개최된 지구정상회의 이후,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ESSD)이라는 개념이 자리 잡았다.
지난 12일 경북도에 따르면, 환경부가 공모한 ‘2022년 도시 생태축복원사업’에 구미와 의성이 선정됐다. 국비 101억 원을 포함하여, 총사업비 145억 원(국비 70%, 지방비 30%)으로 도시 생태축 복원사업을 실시한다. ‘도시 생태축 복원사업’은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이다. 전체 인구의 90%이상이 도시에 사는 우리나라는 도시지역의 훼손된 자연생태계를 친환경 생태공간으로 만든다. 사업기간은 2년간 2단계로 추진된다. 2022년(1단계) 실시설계를 진행한다. 2023년(2단계) 실질적인 지형정비 및 생태복원,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한다. 사업의 방향은 최근 기후변화로 생태계가 안고 있는 환경적,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생물서식지 확충·개선, 생물종 복원, 탄소흡수원 확보, 생태휴식공간 조성, 도심열섬현상 완화 등이 목적이다.
구미는 총사업비 60억 원(국비 42억, 지방비 18억 원)으로 희귀 겨울철새(흑두루미, 재두루미, 고니) 등 보호가치가 큰 멸종 위기종 정착을 위해, 자연서식지를 복원한다. 접근성이 높은 도심 중심부에 조류관찰대, 습지탐방로 등을 조성한다. 경북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생태복원사업을 추진한다. 녹지공간이 조성되면, 도시열섬현상 및 미세먼지 등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도심 환경문제 해결의 가시적 성과가 도출된다.
의성은 총사업비 85억 원(국비 59억, 지방비 26억)이다. 사업 대상지는 20만 8,000t의 방치된 폐기물로 쓰레기 산으로 해외언론까지 보도된 폐기물 처리 부지를 포함한다. 생태축 복원사업으로 탄소저감숲, 생태계류, 곤충서식지, 생태교육장 등을 조성한다. 2023년 12월 사업이 완료되면, 만경산과 낙동강을 잇는 생태계가 복원된다. 광역거점 탄소 흡수원 확보로 탄소 중립에 크게 기여한다.
최영숙 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기후변화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한다. 그린(수생태축)·블루(녹지축)네트워크 구축 등 생태계 기반 해법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정책을 선도한다.
최고의 생태축복원은 자연을 그대로 두는 것이다. 편의시설을 최소화해야 한다. 사업이 끝나면, 적절한 기간의 휴식년을 둘 것을 권유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