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의료/복지

신경장애 생체이식형 신경전극 개발

뉴시스 기자 입력 2017.03.08 16:35 수정 2017.03.08 16:35

국내 연구진, 장기간 신경 자극에 발생 신경신호 기록국내 연구진, 장기간 신경 자극에 발생 신경신호 기록

국내 연구진이 장기간 신경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생체이식형 신경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중추·말초 신경계 질병 및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장애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신경전극 기반 신경신호 감지 및 제어 시스템 연구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이수현 박사팀은 경희대 치과재료학교실 권일근 교수팀, 건국대 수의과대학 도선희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생체이식형 신경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연구진은 개발한 생체이식형 전극이 말초신경계의 신경 신호를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측정 가능하다고 전했다. 최근 신경치료는 생체 신경 신호의 측정 및 자극이 가능한 이식형 신경 전극을 삽입하는 치료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주로 척추 손상 환자의 재활과 치료, 시신경 자극을 통한 인공 시각 구성, 정신적 질환의 치료를 위한 뇌 심부 자극술 등에 활용되고 있다.그러나 기존 이식형 신경 전극의 경우, 체내에 이식된 후 신경에 충분한 영양소 및 산소공급이 힘들고, 신경 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높아 이식부위에 기계적 부조화에 의한 상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체내에서 이물반응에 의한 염증으로 신경전극이 주변 조직과 차단돼 장기간 신경신호 검출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염증억제와 장기간 미세한 신경신호 검출을 위해서 신경전극의 유연성과 물질 투과성을 향상시키면서 전기적으로 높은 감도를 갖는 신경전극을 개발했다. 이수현 박사는 “개발한 신경전극은 중추 및 말초신경계 손상의 신경계 장애인을 치료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신경신호 검출과 기록이 가능하다”며 “신경전극 개발에 적용된 기술은 각종 체내 삽입형 소자의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학회(ACS)에서 발간하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ACS NANO’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뉴시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