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영덕군,영덕에 해양생물종복원센터 건립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2.05.14 14:06 수정 2022.05.15 09:31

'기후위기에 대응' 멸종위기 보호생물 보존·관리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다. 이 같은 바다를 잘만 활용하면, 해양강국이 된다. 해양강국이 되기 위해선, 해양 생물종이 많아야 한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잡는 어업에만 열중하는 바람에 해양 생물종이 점차로 없어지는 경향이다. 먹이사슬에서 하나라도 없어지면, 여기에 연결된 해양 생물종은 없어진다. 이렇게만 간다면, 바다는 육지의 사막처럼 생명이 없어진다. 해양 생물은 우리가 호흡하는 많은 산소를 생성한다. 

지난 7일 한국수산자원공단에 따르면, 전국 연안 갯녹음 현황을 보면, 국내 바다 암반 3만 8000여ha 중 1만 2700여ha(33.5%)에서 사막화 현상이 확인됐다. 해역별로는 동해 암반의 48.3%에서 사막화가 진행됐다. 제주 33.3%, 남해 12.6%, 서해 7.4%에서 이런 현상이 확인됐다. 바다 사막화가 진행된 암반을 합치면, 여의도 면적(260ha)의 49배 정도 된다. 

바다 사막화는 암반에 서식하는 미역·다시마·감태 등 해조류가 사라지는 현상이다. 해조류가 사라진 자리는 석회조류가 차지하여, 바위가 하얗게 변하기도 한다. 동해는 상위 포식자들이 멸종 위기종이 되어, 천적이 사라진 성게 등이 많이 번식하면서, 이들이 해조류를 먹어 치워 갯녹음 현상이 발생한다.

바다 숲은 어류의 산란장이자 서식 공간이다. 황폐해졌을 경우 해양 먹이사슬이 파괴돼, 바다 생태계에 충격을 준다. 경북도에 따르면, 깨끗하고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 기반 구축을 위해, 온 힘을 다한다. 우선, 지역의 해양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보전가치가 있는 해역을 해양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한다.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발맞춰 나간다. 전국에 30개의 해양보호구역이 있으나, 지난해까지 경북에는 울릉도 해역만 유일하게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동해 해양보호생물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경북도는 포항 호미곶 주변 해역을 시작으로 울진 나곡리 주변 해역, 영덕 고래불 주변 해역 등 신규 해양보호구역을 확대 지정을 추진한다.

경북 동해는 해양보호생물인 게바다말과 새우말의 주 서식처로 유명하다. 게바다말과 새우말은 잘피종의 하나다. 블루카본 종의 광합성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울릉도 고유종인 해마와 같은 많은 수중동물의 산란장과 서식지다.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탄소 중립을 통한 지속가능한 바다를 기대한다. 

지난 12일 동해안 최초 해양보호구역인 울릉도(독도) 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 방문객센터가 문을 열었다. 방문객센터는 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 해양생태관 건물(2층)을 리모델링해 조성했다. 총사업비 19억 원(국비70%)으로 홍보관, 전시관, 체험관 등으로 해양보호구역의 가치와 중요성을 전달한다. 체험교육 등의 기회를 제공해, 해양생태보전 교육과 홍보에 나선다.

국립 해양생물종복원센터 건립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한다.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보호생물 보존과 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최근 세계적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해양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된다. 생물 다양성이 감소 위기에 처해있는 실정이지만, 해양생물 다양성을 관리할 컨트롤타워와 전담기관이 전무했다. 

경북도와 영덕군은 지난해 12월 국립 해양생물종복원센터를 영덕에 유치했다. 센터는 총 사업비 373억 원 규모다. 현재 실시 설계 중이다. 2025년 개관한다. 포항시는 지난해 4월부터 기본구상 용역에 착수해 전문 연구기관, 해양수산부, 심해 다이버 등 관련 전문가들을 통한 자료수집과 수차례에 걸친 간담회 등으로 기본구상 초안을 마련했다. 경북도는 올 상반기 안으로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대상사업을 신청한다.

김남일 경북 환동해지역본부장은 경북 동해안은 해양환경자원 활용을 위한 국책사업 발굴이 중요하다. 해양생물종복원은 그냥 두는 것이 최고다. 사람의 손길이 닿을수록 바다는 사막화한다. 경북도는 해양생물종복원을 위해서, 될수록 자연에 맡기길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