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포항시 숙원 '영일만대교 건설' 청신호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2.08.24 07:05 수정 2022.08.24 09:26

윤석열 대통령, '내년 예산 반영' 지시

현대를 상징하는 것은 교통이다. 바닷길, 하늘 길, 육상 등이다. 이 같은 길에서 막힘이 있다면, 경제도 막힌다. 교통은 바로 자본의 창출이다. 자본은 인구의 증가와 같다. 더구나 포항시는 현재 인구 소멸단계에 들어섰다. 교통, 경제, 인구는 하나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현재 포항시의 숙원은 영일만대교의 건설과 인구의 소멸을 어떻게든 막는 것이다. 육상교통에 강물이 흐른다면, 교통은 막힌다. 이때는 교량(橋梁)이 필요하다. 교량은 도로 철도 수로 등의 운송로 상에 장애가 되는 하천, 계곡, 강, 호수, 해안, 해협, 등을 건너게 한다. 시가지 등을 통과할 목적으로 건설되는 구조물이다. 

다리는 도로, 철도의 계획 노선상의 장애물을 통과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하지만 경제의 발달로 인간의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교량은 단순한 교통수단으로써의 기능만 갖는 것이 아니다. 인류 환경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다리는 한 도시의 문화유산이다. 아름다운 조형물이다. 심미적, 환경적인 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이럼에도 포항시는 영일만대교가 없다. 때문에 경제발전과 인구의 감소가 지속되는 등, 많은 애로가 있었다.

그러나 지난 23일 이철우 경북 지사가 자신의 SNS(페이스북)에 ‘윤석열 대통령 영일만대교 예산 확정 지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포항시의 숙원이 풀리는 순간이다. 이철우 지사는 영일만대교는 이명박·박근혜·문재인 대통령 시절 내내 경북지역 숙원사업이었다. 

이제 드디어 해결됐다. 윤 대통령은 영일만횡단대교 예산을 내년에 반드시 포함시키도록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최상목 경제수석에게 직접 지시했다. 

그러면서 이철우 지사가 최근에 추경호 총리를 만나, 영일만횡단대교 사업에 대해서 예산과 사업 진행을 요청했다. 대통령은 의지가 워낙 강했다. 예산에 반드시 포함하겠다고 약속했다.

경북도의 숙원사업이자, 대통령 공약 사항인, 영일만대교 건설에 더할 나위 없는 큰 힘이 실렸다. 대통령은 당선 직후인 지난 4월 11일 영일만횡단대교 건설 현장을 찾아 공약으로 약속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역시 영일만대교 사업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추진 의지가 강한 만큼, 내년 예산에 꼭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으로도 정부와의 긴밀한 관계에서 경북 발전으로 지방시대를 연다. 산재한 경북의 현안을 앞장서서 챙기고 해결한다. 이철우 지사는 이런 소중한 과정들을 경북도민께 SNS나 언론으로 꼼꼼한 보고로 지역민들에게 소식을 전했다.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는 포항 남구 동해면에서 북구 흥해읍까지 바다를 건너는 해상 교량이다. 전체 길이 18㎞(해상교량 9㎞, 터널 2.9㎞, 도로 6.1km)다. 총 사업비는 1조 6,189억 원 규모다. 이 사업은 지난 2008년 정부의 ‘광역경제권발전 30대 선도 프로젝트’에 선정돼, 국가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서 건설 당위성이 거론되기 시작했다. 

2009년 기획재정부에서 예비 타당성조사를 실시해, 사업추진을 결정했다. 2011년에 국토교통부 타당성 조사가 이뤄졌다. 영일만을 횡단하는 해상 횡단안이 최적안으로 도출됐다. 하지만, 2013년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간의 총사업비 협의 과정에서 국가재정부담 및 국도대체 우회도로 활용 가능성 등의 사유로 영일만 횡단구간(18km)을 제외한, 포항~영덕(30.9㎞)구간만이 확정돼, 현재 공사를 추진한다.

여기서 교량은 다시 살피면, 어떠한 것을 넘어가기 위한 고가 구조물만이 아니다. 교량을 시공할 때는, 해당 구역을 메우는 것보다 교각을 세워 건너가는 것이 더 경제성이 있을 때 시공을 결정한다. 여기서 경제성이란 단순히 직접 현금으로 환산되는 가치뿐만이 아니다. 생태계 보존·환경과 심미성 등의 가치도 포함된다. 

다리는 도시의 예술품이다. 영일만교량은 포항시의 상징이다. 상징은 관광 상품이다. 예술은 과거에 없었던 것을 원한다. 이때부터 영일만교량은 교량의 역할보다, 예술로써 관광자본을 창출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