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대구, '2030년까지 13兆 투입' 탄소중립 프로젝트 실천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2.12.15 04:14 수정 2022.12.15 09:41

2050년 탄소중립도시 전환 온실가스배출량 ‘0’ 달성

인류는 지구라는, 환경에서 산다. 그러나 지구는 사람의 탐욕에 따라, 자본을 보다 많이 창출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사는 환경에다 탄소를 내뿜어, 온실가스가 지구의 기후를 점차로 덥게 한다. 이제부턴 더 이상으로 지구의 환경에다 탄소 등을 내뿜지 않는 운동을 한다. 이게 탄소중립화(carbon neutrality)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적 배출량을 ‘0’(zero)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탄소 제로(caron zero)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여, 배출량만큼을 상쇄하기 위해 나무를 심거나 석탄, 화력 발전소를 대체할 에너지 시설에 투자하는 등의 활동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상쇄하는 방식이다.

지난 2월 IPCC 6차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 중립을 달성하지 않고 현재 수준으로 2050년까지 탄소를 배출하면, 해수면이 0.44∼0.76m 높아진다. 수면이 1.1m 높아지면, 여의도 172배 면적이 잠긴다. 3만 7334명이 침수 인구가 된다. 같은 달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산 분야 기후백서(2019)에 따르면, 최근 50여 년(1968∼2018년) 동안 우리나라 바다 표층 수온은 1.23도 상승했다. 매년 0.024도 정도 상승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전 세계 연평균 표층 수온 상승률(0.009도)보다 2.5배 높은 수준이었다. 동해는 1.43도가 증가했다. 남해는 가장 수온 상승률이 낮은 1.03도를 나타냈다. 동해가 남해나 서해보다 수온 상승률이 높은 것은 동해 중부해역에 있는 ‘아극전선’이 북상한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판단했다.

2021년 한국정부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40%로 감축하는 안을 제시했으나,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미흡한 목표이다. 최소 50% 이상 감축을 주장했다. 지난 11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체결된 1992년 356ppm이던 이산화탄소 농도는 30년이 지난 2022년도엔 417ppm까지 치솟았다. 국제기후 정치가 거듭 실패했다.

이 같은 실패에 대구시가 나섰다. 지난 14일 대구시가 오는 2030년까지 13조 원을 투입하여, 탄소중립을 이행하여, 탄소중립 도시로 대전환을 시도한다. 이종헌 대구 정책총괄단장이 동인청사에서 설명회를 열고, ‘2050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했다. 2018년 기준 897만 톤인 대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오는 2030년까지 45%, 2040년까지 70%로 감축한다. 2050년에는 순배출량 ‘0’을 만든다. 

대구는 탄소중립 5대 대표과제로 산업단지 지붕 태양광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Green Mobility(그린 모빌리티)를 구축한다. ‘탄소중립 시민실천활동인 탄소 줄이기 1110’실시, 중수도 시스템을 구축한다. Forest(포레스트)대구 프로젝트 추진 등을 설정한다. 오는 2030년까지 13조 원을 투입한다. 

이종헌 단장은 탄소 중립과 관련이 큰 대경통합신공항 개발 등 거대 프로젝트가 가시화되면, 사업비가 더 늘어날 수 있다. 탄소중립 관련 신기술 개발 동향에 따라 사업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 이밖에도 대구는 매립장, 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 가스를 자원화한다. 친환경 탄소중립 산단을 조성한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한다. ‘걷고 싶은 도로’ 조성 등을 추진한다. 지난 6월부터 대구시는 탄소중립 기본조례 제정으로 제도적 기반을 갖췄다. 탄소중립을 시정 아젠다(agenda)로 삼아, 다양한 정책을 폈다.

홍준표 대구 시장은 폭염을 도시 열섬 완화의 기회로 삼았던 경험과 선견지명을 살려, 창의적이고 혁신적 탄소중립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선언과 구호로써의 탄소중립이 아니다. 도시 대전환과 재도약의 계기가 되도록 한다.

대구시가 재정을 투입하여,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만들었다고 치자.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탄소는 전 지구적 문제이다. 또 지구적 문제가 아니라도, 대구의 인근 도시들의 세차게 내뿜는 탄소를 어떻게 할 참 인가를 묻는다. 대구시가 추구하는 환경문제 풀이는 적어도, 인근 도시와 협력할 것을 주문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