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낙영 시장이 지역의 어느 한 기업체를 방문해 생산품을 보고 있다.<경주시 제공> |
|
경주시가 중소벤처기업부·경북도와 함께 지역 자동차 소재부품 및 제조분야 등에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에 나선다.
스마트 공장은 설계‧개발부터 유통‧물류 등 생산 전 과정에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제어기, 센서 등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이 결합된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생산성, 품질,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지능형 생산 공장을 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제조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24년 ‘선도형 스마트공장(정부일반형) 구축지원 사업’수요 기업을 다음 달 16일까지 모집한다.
선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은 고도화Ⅰ, 고도화Ⅰ(동일수준) 등의 2개 유형으로 나뉘며, 경주시는 올해 10개 기업 선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도화Ⅰ은 기업 당 최대 9개월 간 2억 원의 지원금이, 고도화Ⅰ(동일수준)은 기업 당 최대 6개월 간 5000만 원의 지원금이 지급된다.
선정된 업체는 IoT, 5G, AI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및 솔루션과 연동된 자동화장비‧제어기‧센서 등을 지원한다.
신청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smart-factory.kr)로 접수하면 되고, 업체 선정은 서면‧기술평가, 현장 확인 등을 거쳐 5월 경 발표 예정이다.
사업 관련 보다 자세한 사항은 경북TP 홈페이지 사업공고 게시물을 참고하거나 경북TP 경북스마트제조혁신센터(053-819-3055)로 문의하면 된다.
경북도도 기초단계 스마트공장 구축 필요에 따라 ‘기초수준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도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수요를 반영해 도내 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총 사업비의 50% 이내, 최대 5000만 원을 지원한다.
사업 일정과 지원 계획 등은 경북TP 경북스마트제조혁신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추후 공고 할 예정이다.
시는 접수기간 동안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 공모 사업에 많은 지역 기업이 선정될 수 있도록 전 단계에 걸친 컨설팅과 적극적인 홍보를 펼칠 계획이다.
한편 경주시는 지난 5년간 145곳 기업에 스마트 공장 구축지원 사업을 완료했다.
주낙영 시장 “스마트공장 구축은 미래 제조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필수요건 중 하나”라며 “더 많은 지역 중소·중견기업이 단계별 스마트공장을 도입해 제조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