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경제

대형사, 정비사업 수주 양극화 하반기 반전카드는 ‘강남 올인’

뉴스1 기자 입력 2017.07.30 16:06 수정 2017.07.30 16:06

공사비 2.6조 규모 반포주공1단지 등 강남권 집중공사비 2.6조 규모 반포주공1단지 등 강남권 집중

상반기 대형건설사 도시정비사업 실적이 엇갈리고 있다. 이미 지난해 실적을 넘어선 건설사가 있는 반면 불과 1건 수주에 그치고 있는 곳도 있다. 일부에선 하반기 강남권에 몰입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에 나서고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3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10대 대형건설사 상반기 도시정비사업(재건축·재개발) 수주액은 총 6조457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대우건설 실적은 압도적이다. 올해 2조2538억원 수주고를 올려 유일하게 2조원 넘는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 1월 서울 신림2구역 재개발을 시작으로 지난 3월 치열한 수주전이 진행됐던 경기 과천주공1단지를 손에 넣었다. 이 밖에 △부산 감만1구역 △대구 파동강촌2지구 △서울 행당7구역 △경기 오전다구역을 수주했다. 대우건설은 △2015년 9338억원 △2016년 1조7310억원 실적을 기록한 바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지난해 액수를 넘어선 셈이다.  이어 현대건설은 1조953억원으로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1월 경기 능곡6구역을 시작으로 △부산 사직1-6지구 △인천 십정5구역 △경기 서정연립을 품었다. 지난달 4625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사업장 은평구 대조1구역 사업권도 확보했다. 지난해 1조4009억원을 달성한 롯데건설은 이미 1조원이 넘는 실적을 쌓았다. 올초부터 공격적인 수주전에 나서는 등 주택사업에 역량을 강화하는 모양새다. 지난 1월 서울 신림2구역(대우건설 컨소시엄)을 시작으로 △서울 대치2구역 △강원 춘천약사3구역 △부산 양정3구역을 수주했다. 지난 5월 은평구 증산5구역을 수주해 수색4구역와 함께 브랜드 타운을 조성할 수 있게 됐다. 지난달에는 방배14구역을 품으면서 강남권에 또다시 캐슬 브랜드를 확보했다.  이 밖에 △포스코건설 7497억원 △현대산업개발 5269억원 △GS건설 3926억원 △SK건설 3195억원 △대림산업 594억원으로 집계됐다. 업계에선 시공사 선정에 나서는 정비사업 구역이 절대적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재건축 조합이 내년 초과이익환수제 부활을 앞두고 조심스러운 행보를 이어가고 있어서다. 올해 관리처분인가 신청이 사실상 어렵다고 판단해 속도전을 미루는 분위기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일부 조합들은 내년 초과이익환수제 적용을 피할 수 없다고 판단해 사업을 보수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며 "정책변화를 기대하며 시장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가 역력하다"고 전했다. 주목할 점은 지난해 도시정비사업 수주액 1·2위를 다투던 대림산업과 GS건설은 상반기에 이렇다 할 실적이 없다는 것이다. 강남권 수주를 위해 선택과 집중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하반기 반포주공1단지(1·2·4주구)와 신동아 아파트 등 강남권 재건축이 시공사 선정을 진행한다. 일부 건설사들은 영업인력을 강남권에 전면 배치해 사실상 '올인' 전략을 꾀하고 있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반포주공1단지는 공사비만 약 2조6000억원에 달하는 대어급이다. 건설사들은 반포주공1단지를 통해 추후 압구정 재건축 수주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실제 지난 20일 진행된 현장설명회엔 삼성물산을 제외한 9개 건설사 모두 참석했다. 한강변 랜드마크를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반포주공은 공사비뿐 아니라 조합 요구조건이 까다로워 대형사도 쉽게 진행할 수 없는 프로젝트"라며 "다른 수주전처럼 홍보도 쉽지 않아 영업전 방식에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이 강남권에만 주목하는 이유는 리스크 관리가 과거보다 깐깐해진 탓이다. 일감 확보를 위해 '묻지마' 수주에서 벗어나 수익성을 최우선으로 판단하고 있어서다. 서울과 부산 등 특정 지역에 집중하겠다는 건설사도 있다. 삼성물산도 비슷한 분위기다. 2015년 신반포3차 통합재건축 수주 이후 자취를 감췄다. 올해 반포주공1단지 사업설명회에도 모습을 들어내지 않았다. 까다로운 내부 사업성 가이드라인을 통과해야 수주전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게 삼성물산 입장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주변 브랜드 보유 여부 등 재건축 사업지를 분석하는 전략이 건설사마다 다르다"며 "최근 등장한 공동시행방식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어 선불리 입찰에 참여할 수도 없다"고 설명했다. 뉴스1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