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2024년 일자리대상 수상식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4.12.26 07:09 수정 2024.12.26 07:09

일자리는 자기 생활의 방편이다. 이 같은 방편에서 자기 인생을 실현한다. 인생의 성취다. 이런 일자리가 없으면, 사회는 불안사회로 간다. 사회가 불안하면, 사회 발전도 없다. 지난 11일 통계청의 ‘2024년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82만 1,000명이었다. 1년 전보다 12만 3,000명이나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8월(26만 8,000명)부터 9월(30만 9,000명), 10월(34만 6,000명)까지 증가폭이 커졌다. 하지만 11월(27만 7,000명) 축소됐다. 지난해 12월(28만 5,000명) 한 달 만에 반등했다.

지난 2일 한국은행의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배경과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쉰’ 사람 중 10명서 3명은 청년층(25∼34세)이었다. 1년 새 8만 6000명이나 증가했다. 청년층이 원하는 일자리가 없는 구조적 요인에 원인한 것으로 본다. 또한 고용 상황 자체가 나빠진 경기 요인이 모두 작용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중 20대 이하(10대·20대) 신규 채용 일자리는 145만 4000개였다. 작년 동기(159만개)비, 약 13만 6000개(-8.6%) 감소했다. 2018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가장 적은 수치였다. 역시 11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의 ‘2024년 상반기 청년층 대상 채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임금·복지보단,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중요했다. 특별휴가 등, 유연한 업무 형태를 더 선호했다.

지난 23일 경북도에 따르면, 안동 그랜드호텔에서 경제 위기에선, 경북도가 일자리 창출에 우수한 성과를 낸 9개 시·군을 선정했다. ‘2024년 경상북도 일자리대상’시상식을 개최했다. 행사는 올 한 해 경북도가 일자리 사업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게 협력해 온, 시·군과 수행기관, 기업 일자리 창출 유공자를 격려했다. 일자리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고자 마련됐다.

세부적으로는 2024년 일자리 창출 평가 우수 시·군 시상과 유공자를 표창했다. 노동시장 이중 구조 현황과 개선 방향에 대한 특강 등으로 구성됐다. 경북도는 시·군의 사기 진작과 우수사례를 공유·확산시켰다. 2015년부터 매년 일자리 창출 우수 시·군을 선정해 시상했다. 2023년부터는 일자리 사업의 수행력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에서 대면 평가를 추진한다.

평가에서 추진 실적 부문 ‘대상’은 영덕이 영예를 거머쥐었다. ‘최우수상’은 김천·영천이었다. ‘우수상’은 포항·영주·고령·칠곡군이 선정됐다. 우수 시책 부문 ‘최우수상’은 문경시가 차지했다. 우수상은 청도군이 선정됐다. 상패와 시상금을 수여 받았다. 종합실적 부문 대상 영덕은 일자리 사업 추진부서 기능을 보강했다. 안정된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지역 자원을 활용한 생활 경제권(영덕-울진)간 연계 정책으로 해양 수산-어촌 공동체 일자리 창출 성과를 극대화 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 시책 부문 최우수상 문경시는 지역 자원을 활용한 문경-상주 간 컨소시엄 모델인, ‘경북 상(주)문(경)동(네) 로컬 업&다운 일자리 지원 사업’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 성장과 창업 연계 사업구성서 우수했다. 수상 시·군 일자리 부서 담당 공무원 7명과 사업추진 우수 수행기관과 참여기업 관계자 14명에게는 일자리 창출 유공 도지사 표창장을 수여했다.

일자리 창출과 인력 양성에 이바지 한 민간인과 기업에 대구지방고용노동청장, 한국산업인력공단 경북서부지사장, 경북인적자원개발위원장 등을 표창했다. 일·학습병행 우수기업 4개 사를 선정해, 현판을 전달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현황과 지방 주도를 통한 개선 방향’특강으로 마무리됐다.

양금희 경북 경제부지사는 기업인과 수행기관 등 모두 감사한다. 일자리는 지역의 특수성의 영향에 따라 크게 오르락 내리락한다. 지역 특성에 따라, 일자리 창출도 다르다. 경북도는 이와 같은 것에 행정력을 모으기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