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0년대부터 도시가 확장되기 시작했다. 처음엔 이게 원도심이었다. 그러나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도시의 주변부가 또한 확장되고, 발달했다. 이렇게 되자, 당초 원도심은 낙후의 길을 걸었다. 이 같이 낙후된 곳을 다시 개발하기를 시작했다. 이게 ‘도시 재생’이다. 처음엔 쇠퇴한 지역을 개선한다. 지속 가능한 도시로 추진한다. 더하여 자연과 인간이 조화로운 도시를 만든다. 사람답게 살 수 있는 도시로 만든다. 궁극적으론 사회·경제·환경·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촉진한다. 도시와 인간 삶의 가치를 새롭게 극대화한다.
도시 재생의 최근 개념은 도시의 역사적 의미를 살린다. 개발이 아닌, 재생의 관점에서다. 도심재생은 도시 구조를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서 경제 구조도 변화한다. 쇠락한 지역을 다시 활동적인 지역으로 재생시킨다. 또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란 이름으로 노후주택 공공임대 주택화한다. 공원이나 유치원 등 아파트 수준의 인프라를 조성한다. 경북도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4년 하반기 도시재생사업 신규 공모사업’에 전국 최다인 6곳이 선정됐다. 마중물 사업비 1,271억 원(국비 762.6, 지방비 508.4)을 확보했다. ‘뉴:빌리지 사업’은 전면적 재개발·재건축이다. 노후 단독, 빌라 촌 등 저층 주거 지역에서 민간이 주택을 정비한다. 금융·제도적 인센티브와 공공의 기반·편의시설 설치를 패키지로 지원한다. 지역 단위로 주민의 주택을 정비한다. 주차장, 복합편의 시설 등을 설치하는 정주 환경 개선을 지원한다.
경북도는 4개 시·군 4곳 선정으로 전국 최다 선정됐다. 선정된 지역은 경주 성건동 성건1지구(262억, 18만 2,000㎡)이다. 구미 선산읍 완전·동부지구(250억, 8만 3,127㎡)이다. 영주 휴천2동(250억 원, 9만 8,281㎡)이다. 상주 남원동 남성지구(250억, 152만 387㎡)이다. 향후 5년간 국비 607억 2,000만 원을 포함한, 총 1,012억 원을 투입한다.
아파트 수준의 기반·편의시설을 공급한다. 주민이 주택을 정비하면, 용적률을 완화한다. 기금융자 등 혜택도 제공한다. ‘지역특화 재생’은 역사·문화·산업 등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활용한다. 수요·특색에 따라 시행하는 도시재생사업으로, 이번에 선정된 문경 가은읍 일원(29만 295㎡)은 향후 4년간 250억 원이 투입된다.
‘새로운 빛으로 거듭나는 공간, 가은, Only you(온 이유)’란 비전을 설정했다. 과거 석탄산업의 부흥으로 성황기를 맞이했던 가은지역이 은성광업소 폐광, 가은역 폐역 등으로 점차 쇠퇴했다. 다시 과거 빛났던 가은의 모습을 되찾고자, 풍부한 지역자원을 기반으로 관광콘텐츠를 개발하여, 체류형 관광지를 조성한다.
구미 원평동 일원에 지원되는 ‘생활 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 사업’은 사업비 9억 원이다. 향후 1년간 스마트 보행안전 서비스를 구축한다. 청소년 문화시설 내 스마트 놀이터 등을 조성한다.
경북도는 이번 공모사업 선정을 위해 사업 유형에 적합한 대상지를 시·군과 협업해, 발굴했다. 현장 실사와 최종 평가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 상시 컨설팅을 하는 등 완성도 높은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추진 가능성을 인정받아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경북도 도시재생사업은 2014년부터 2024년까지 22개 시·군 53개소가 선정돼, 총사업비 9,307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현재까지 13개 소 준공, 40개소를 추진한다.
배용수 경북 건설도시국장은 노후 저층 주거지의 정주 환경을 개선해 점점 쇠퇴해져 가는 원도심에 희망을 불어넣어 활력적인 경북을 만든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에 대한 대책이다. 이는 본래 낙후되거나 저소득층, 영세 기업이 주를 이루던 지역이 개발되는 과정에서 고급 주택과 대형 문화·상업 시설이 들어선다. 때문에 원도시심의 주민은 높아진 임대료와 개발에 따른 아파트 등을 구입할 능력이 없어질 수가 있다. 뿌리를 박고 살던 지역을 떠날 수밖에 없는 지경에 빠진다. 경북도는 이에 대한 대책 수립부터 하길 권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