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드론을 활용해 농작물에 농약을 뿌리는 장면. 기후변화와 농업 효율성을 고려한 현대적인 농업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안동시 제공> |
|
기후변화와 고령화는 농업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안동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1,369억 원을 투자,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육성하는 데 힘쓰고 있다.
우선 농업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농촌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농촌인력중개센터를 확대하고, 외국인 계절근로자 수를 770명에서 1,000여 명으로 늘린다. 또한, 농기계 임대사업 접근성 향상을 위해 남후농공단지 내에 농기계 임대사업소 남부분소를 설치(59억 원)하고 농기계 불용품을 농업인에게 매각해 접근성을 높인다.
청년 농업인을 육성하기 위해 후계농업인 및 청년농업인 육성사업을 통해 최대 110만 원의 생활안정자금과 5억 원의 융자를 지원(연 1%, 5년 거치 20년 상환)한다. 또한, 농지임대료와 창업비용 등도 지원하여 안정적 정착을 돕는다.
농작물 재해보험 자부담을 10%에서 9%로 낮추고, 농기계 종합보험과 농업인 안전보험 자부담도 50%에서 30%로 낮춘다. 또한, 보조사업 농기계의 가격 정보를 공개해 농업인의 공정한 농기계 구매를 지원한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특화작목 품질 고급화와 대체 작물 시범 재배를 추진한다. 국내 육성 신품종 ‘감로’사과를 안동 지역 특화품종으로 육성하고자 특화단지 조성(8개소 3㏊)과 묘목 보급(5개소 1㏊) 사업을 추진(4.8억 원)하고, 기후변화 대응 대체 작물 시범 재배(1.6억 원)와 신소득 약용작물 발굴(0.4억여 원)도 함께 추진한다.
병해충 방지를 위해 공동방제(40억 원) 및 토양 정밀검정(1.64억 원)을 실시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 기반을 구축한다.
권기창 시장은 “기후변화와 고령화로 인한 농업 위기는 다가온 현실이지만 우리는 이를 극복할 힘과 지혜를 가지고 있다”며 “농업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젊은 농업인을 지원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지금의 위기가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도록 미래지향 농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