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동문경농협 사과유통센터 전경.<문경시 제공> |
문경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사과 주산지로 2,400㏊의 면적에서 연간 4만 3천여 톤의 사과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감홍사과 재배확대 정책에 따라 해마다 100㏊이상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조만간 재배면적 3,000㏊, 생산량 6만 톤을 넘어설 전망이다.
현재 생산량 중 2만 3000톤은 관내 농협 유통센터에서 유통되고, 7000톤은 축제나 택배 등 방법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1만 3000톤은 안동공판장으로 출하돼 고품질의 문경사과가 원산지가 불분명한 상태로 판매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인해 연간 23억 원에 달하는 물류비용이 발생하며, 성수기에는 2~3일씩 대기해야 하는 비효율성도 커, 문경사과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돼 왔다.
이에 문경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총 100억 원 규모 산지유통시설 확충 사업을 적극 추진해왔다. 그 결과, 기존에 유통시설이 부족했던 동부지역(산북면·동로면)의 연간 사과 생산량 9000톤 중 고작 2000톤만 처리 가능하던 문제가 해소될 전망이다.
유통 인프라 확충의 주요성과로는 동문경농협이 산북면에 56억 원의 사업비로 연간 처리능력 6000톤의 중규모 사과유통센터를 준공해 문경시 동부지역 사과 유통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점촌농협도 신기동에 22억 사업비로 소규모 유통센터를 건축중에 있어 관할구역 사과생산량 4500톤 중 3000톤 정도는 소화가 가능하며 대구경북능금농협도 20억 원 사업비로 마성면에 738㎡의 저온저장고를 준공해 저장능력 800톤을 추가 확보했다. 문경농협도 5억 원으로 비파괴 당도선별이 가능한 최신 선별기를 설치해 처리 물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산지유통시설이 북부 지역에 집중되었던 기존 구조에서 벗어나, 동·남부 지역까지 균형 있게 확충되면서 과수 농가의 접근성이 대폭 향상됐다.
올 연말, 모든 사업이 마무리되면 문경시는 자체적으로 생산된 모든 사과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사과 자급 도시'로 자리매김 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