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을 움직일 때 소리가 나거나 음식을 씹을 때 금방 턱이 뻐근하고 아픈 증상을 방치할 경우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등 심각한 턱관절 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턱관절은 아래턱을 움직일 수 있게 해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을 수 있게 해주는 양쪽의 관절로 인체에서 유일하게 양쪽이 같이 움직이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을 움직이는 근육 등의 주변 조직에서의 불편감 및 통증까지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관절 질환만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 턱을 움직이는 저작계(咀嚼系)에서의 다양한 원인으로 불편감과 통증, 기능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다.턱관절 장애의 초기 증상은 턱을 움직일때 소리가 나거나 음식을 씹을 때 턱이 뻐근하고 아픈 증상에서 시작된다. 그러다 점점 증상이 심해지면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개구장애, 턱이 자주 빠지는 습관성 탈구, 턱관절 뼈의 변형이 일어나는 퇴행성 관절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턱관절 장애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물을 사용해 통증을 조절하고 물리치료를 병행하는 방법이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치아에 탈착 가능한 장치를 이용해 치료를 하게 되며, 주사치료 등을 함께 한다. 만약 평소 턱을 오래 괴고 있거나 긴장할 때 이를 악무는 습관 등 턱관절에 안 좋은 힘이 전달될 수 있는 습관을 갖고 있다면 이를 교정하는 습관을 함께 해야 재발을 줄일 수 있다. 자세나 습관에 따라 편측으로 틀어진 자세를 취할 경우 해당 방향의 목, 어깨, 허리 등의 통증이 턱의 통증과 동반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다만 턱관절 장애가 다른 관절에도 영향을 미치고 전신질환까지 일으킬 수 있다는 의료계 일각의 주장은 아직 객관적으로 증명된 학술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동국 신촌다인치과병원 구강내과 과장은 "탄성이 있는 장치를 장착할 경우 근활성이 증가할 수 있고 교합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견고한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며 "교합 변화가 일어나거나 심한 부정교합이 있는 경우에는 치아교정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