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청년의 사회적 경제로 취·창업을 육성 지원한다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9.02.14 18:22 수정 2019.02.14 18:22

지난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623만2천명에 그쳐, 작년 1월보다 1만9천명 증가했다. 이번 증가 폭은 지난해 8월(3천명)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정부의 목표치 15만 명에 한참 못 미쳤다. 실업률은 4.5%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일자리 보금자리인 제조업 고용부진 등에 따른 영향으로 실업률은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취업시장은 우리가 바라는 만큼, 그 폭이 넓혀지지 않는 추세이다. 창업도 시장논리에 따라 경쟁에서 빗나가면, 다시 살아남기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취업도 창업도 모두가 시장경제의 논리를 따르다보니, 이 같은 결과를 초래한 측면이 있다.
지난해 7월 이낙연 국무총리는 대구 서문시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시장경제의 약점을 보완해 자본주의를 지속가능하게 하자는 것이, 사회적 경제의 취지이다. 강자 중심의 질서로 약자가 소외된다. 분배가 왜곡돼 격차를 키운다. 급기야 시장경제는 자본주의의 지속가능성에 우려를 갖게 하기에 이르렀다고, 사회적 경제의 탄생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한국에서도 사회적 경제의 뿌리가 깊다. 1997년 외환위기로 사회적 경제가 새롭게 주목받았다. 2007년 사회적 기업 육성법이 제정된 이후 11년 동안 급속히 성장했다고 소개했다.
이 같은 말에서, 창업시장이나 취업시장에서 시장논리보다는 모두가 사회적인 경제에 따라 취업이든 창업이든 성공으로 가야한다는, 향후 국정 방향을 짚은 것으로 본다.
이번 경북도에서도 ‘사회적 경제로 창업과 취업’의 문호를 더욱 넓히겠다는 것을 도정의 일자리 목표로 삼았다. 경북도는 지난 13일 칠곡 청년 괴짜방에서 ‘경북 청년 사회적 경제 취·창업 학교’에서 육성된 우수모델을 대상으로 ‘창업 육성지원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개최했다. 지난 2017년부터 시행한 사회적 경제 청년 취·창업학교는 청년 사회적 경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기초교육부터 사회적 경제 창업(법인설립)까지 컨설팅 등을 지원해 준다.
경북도는 청년 취·창업학교 기본과정·심화과정(컨설팅, 멘토링)을 운영한다. 지난 1일 심사를 통해 우수모델 10개 팀을 선정했다. 선정된 우수 모델 팀에게 각 1000만 원의 창업비를 지원한다. 이번 협약식에 참여하는 우수 모델 10개 팀에게는 전문가 및 우수 선배 기업가들의 강의, 개인별 멘토링 지원을 통하여 취·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노하우 등을 알려준다. 향후 협동조합, 마을기업, 예비 사회적 기업 등 사회적 경제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경북도는 사회적 경제 청년 인재양성 창업을 위해 ‘협동조합 창업 지원 사업’, ‘지역공동체형 사회적 기업 육성사업’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올해는 ‘글로벌 창업 사관학교 운영’등을 통해 해외 창업 및 판로개척 등을 확대 추진한다. 경북도는 사회적 경제 인식 확산과 청년들의 사회적 경제 유입을 위하여 2018년 대학별 찾아가는 특강, 아카데미 교육, 사회적 경제 설명회 등을 실시했다. 시·군 특화사업 확대를 추진하여, 사회적 경제에 관심 있는 청년들에게 사회적 경제 교육을 확대 시행했다. 지난해 예비 사회적 기업 지정 51개, 인증 사회적 기업 11개, 신규 마을기업 9개, 예비 마을기업 3개, 협동조합 설립 107개를 발굴·육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11월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심의회에 따르면, 5년(2018∼2022년) 단위인 기본계획은 사회적 기업 부문에서 2022년까지 새로운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사회적 기업 고용 규모는 4만1천417명이었다.
김호진 경북도 일자리경제산업실장은 경북형 창업모델을 지속 발굴·육성해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한다.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에 대한 공공구매를 확대한다. 지속 성장 가능한 기반조성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서 중요한 대목은 치열한 경쟁뿐인 시장 논리를 버텨, 사회적 경제로 취·창업에서 지속가능·발전하도록 경북도는 온 행정력을 다 쏟아야만 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