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안동시 구제역 일제 접종, 공장식 사육에서 탈피해야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9.05.12 19:55 수정 2019.05.12 19:55

축산물은 사람들에겐, 중요한 먹을거리이다. 축산업자들에겐, 축산으로써 자본을 창출하고, 축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일자리도 창출된다. 소 등의 질병인 구제역은 어느 지역이든 발생하면, 그 전염력엔 행정구역을 타넘고 전국을 강타할 수가 있다.
이때부턴 소의 구제역을 차단하기 위해선, 살처분하는 수밖에 없다. 병에 걸리지 않는 소도 사전의 예방차원에서, 살처분한다. 살처분한 소를 묻으면, 침칠수로 인근의 농토는 거의 농사를 지를 수가 없는 지경까지로 간다. 이보단 먹는 물까지 오염시킨다.
지난 2월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 겨울 발생한 3건의 구제역으로 벌써 소 1,536마리를 살처분했다. 국내에서 구제역이 발생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로 누적 살처분 마리수는 390만 마리에 달한다. 예방차원에서 반경 500m내 인근 농가 19곳에서 1,333마리가 살처분됐다. 구제역은 국내서 2000년 이후 본격 발생하기 시작해 10차례에 걸쳐 283건이 보고됐다. 그간 희생된 소와 돼지 등은 총 391만7,447마리이다. 여기엔 3조3,336억 원의 재정이 투입됐다. 소, 돼지뿐만 아니라 염소, 사슴 등까지다. 또 재정은 2조7,383억 원이 투입됐다. 이땐 백신접종은 576만 마리가 받았다.
지난해 11월 농림축산검역본부와 동물약품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상당수 축산관련 시설에서 소독약을 제대로 희석하지 않고 사용했다. 거점소독시설에서 차량 등을 허술하게 소독한 게, 병원체의 수평 전파를 초래했을 수도 있는 대목이다. 이건 마구잡이식 대응이다. 구제역은 이제부턴 소의 천적과 같은 질병이다. 안동시는 구제역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지난 1월 안성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안동시는 2월 1일부터 2일까지 긴급 구제역 백신을 실시한 바 있다. 이로 인해 매년 4월, 10월에 실시하던 구제역 정기 예방접종을 올해는 이달과 오는 11월로 한 달씩 늦춰서 실시한다. 이번에 실시하는 제19차 일제 접종은 2가 백신 (O+A형)이다. 오는 14일부터 23일까지 10일간 지역에서 사육 중인 우제류 전 두수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소의 경우 접종 대상으로 지정된 모든 개체가 대상이다. 50두 이상 전업농가는 백신 구매액의 50%를 지원, 자가 접종을 실시한다. 사육 규모 50두 미만의 소규모 농가는 백신을 전액 무상으로 지원한다. 접종 지원을 희망하는 농가에는 예방접종 요원(공수의) 11명을 동원해 예방 접종도 지원한다.
염소와 사슴은 백신을 전액 무상지원, 농가에서 자가 접종을 실시(사슴은 자율 접종)한다. 돼지는 1,000두 이상 전업농가에 백신 구입비용의 50%를 지원, 백신 프로그램에 따라 자가 접종을 실시한다. 1,000두 미만 소규모 농가는 백신을 무상 지원하여, 농가에서 자가 접종을 실시한다.
안동시는 일제 접종 실시 완료 1개월 이후에는 모니터링 항체검사를 실시한다. 정확한 방법으로 빠짐없이 예방접종을 실시해 항체 형성률 저조로 인한 행정처분을 받지 않도록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여기에서 공장식 사육의 사례를 들면, 닭 사육 면적은 마리당 0.05㎡로 A4용지 한 장 보다 작다. 옴짝달싹하지 못하는 공간에서 스트레스에 시달려, 자가 면역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영국과 유럽연합은 마리당 0.75㎡로 정하고 있어, 15배의 차이다. 공장식 사육환경에서 면역력이 떨어진 가축에게 항생제를 지속적으로 사료에 첨가하여 먹일 수밖에 없다. 항생 내성이 생긴 박테리아에 오염되어 강도 높은 항생제를 투여하는 악순환이 연속한다. 이때부턴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한다. 100% 치사율을 가진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나타나면, 방역은 소용없다. 때문에 최소한 ‘동물복지·생명존중사상’의 사육 방식을 택해야한다.
 안동시는 항구적으로 동물복지와 생명존중사상으로 구제역 청정지역으로 만들어야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