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사회

포항서 신라 금귀걸이 발견 ‘고구려 기법 모방한 듯’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9.12.19 19:11 수정 2019.12.19 19:11

대련리 유적서 금제귀걸이 3쌍, 은제팔찌 1쌍 등 장신구·토기 출토

포항 대련리 유적에서 신라와 고구려 교류를 밝힐 수 있는 금제귀걸이가 나왔다.
문화재청은 화랑문화재연구원이 발굴조사 중인 포항시 흥해읍 대련리 유적에서 5세기 후반에 고구려식 기법을 모방해 제작된 신라 장신구류와 다수의 토기가 출토됐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출토된 장신구류는 금제굵은고리귀걸이(금제태환이식) 1쌍을 비롯해 금제가는고리귀걸이(금제세환이식) 2쌍, 은제팔찌 1쌍 등이다.
조사는 돌덧널무덤(석곽묘) 1기와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묘) 6기 등 총 7기 무덤에서 이뤄졌다.
대부분의 무덤이 도굴 당했으나 4호 무덤은 무너진 천장돌(개석)이 껴묻거리(부장) 유물을 덮고 있어서 도굴꾼의 손길을 피한 것으로 판단된다.
4호 무덤은 돌방 길이 5.3m, 너비 1.8m의 긴사각형이면서 주검받침(시상, 屍床)이 상하 2겹으로 겹쳐져 있는 무덤으로, 유적에서 가장 크다.
하층(1차) 주검받침에서 금제가는고리귀걸이 1쌍, 금제굵은고리귀걸이 1쌍, 은제팔찌 1쌍이, 상층(2차) 주검받침에서는 금제가는고리귀걸이 1쌍이 각각 출토됐다.
주검받침이 두 번에 걸쳐 만들어진 점, 다수의 귀걸이가 출토된 점으로 볼 때 4호 무덤에는 3구 이상의 주검이 시간차를 두고 추가로 묻혔던 것으로 판단된다.
금제가는고리귀걸이는 각각 중심고리(주환)에 샛장식(중간식), 드리개(수하식)가 결합된 구조로, 천마총과 서봉총, 보문리 부부총, 창녕 송현동고분 등에서 비슷한 귀걸이가 출토된 바 있다.
원통형 샛장식에는 선문(줄무늬)과 투각(뚫새김)장식을 했으며, 드리개에는 넓은 나뭇잎형 장식 1매와 작고 오목한 형태의 나뭇잎 모양(측엽) 장식 2매가 각각 달려있다. 
금제굵은고리귀걸이도 중심고리 아래에 중앙에 가로로 새김눈금선대(각목대)가 장식된 소환연접구체의 샛장식과 원뿔형의 드리개가 결합돼 있다.
앞서 유사한 형태의 귀걸이가 충북 청원 상봉리, 서울 능동, 강릉 병산동 등에서 출토된 바 있지만, 대련리에서 출토된 귀걸이는 샛장식에 새김눈금선대(각목대)가 존재하고 샛장식 아래쪽의 원반상 장식이 생략됐다.
연구원은 이를 전형적인 고구려산 귀걸이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고구려 제작 기법을 모방해 신라에서 제작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돌방 남쪽 끝의 껴묻거리 공간에서 그릇받침(기대), 긴목항아리(장경호), 굽다리접시(고배) 등 다양한 형식의 토기 수십 점도 출토됐다.
뉴스1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