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중국 수출입 의존도 완화와 지역 기업의 수출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수출 지원책을 펼쳐 나간다.
중동, CIS 등 중국 外 유망전략시장 빅바이어를 초청해 수출상담회를 실시하고, 전략적으로 무역사절단을 파견하는 한편, 수출기업의 각종 해외전시회 참가를 지원한다. 또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핵심원료 수출통제 및 규제 관련 모니터링을 강화 할 계획이다.
대구의 對中무역현황(2023년 기준)을 살펴보면 지난해 전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35.2%로 전국 19.7%비 15.5%p 높고, 수입 비중 또한 60.8%로 전국 22.2%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 산업의 중국 수출입 의존도를 완화하고 지역 기업의 수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대구시는 첫째, 중국外 유망 전략시장 빅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실시하고, 둘째, 국가별·주력 품목별 전략적 무역 사절단을 파견하며, 셋째, 무역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신산업 전시회를 더욱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넷째, 수출기업이 해외 시장에 보다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해외전시회 개별 참가를 지원하며, 다섯째, 수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수출통제 및 규제 관련 실시간 모니터링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수출 지원 정책을 실시한다.
먼저, 글로벌 시장과 수출 기업의 주력상품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중동, CIS 등 유망진출 시장의 빅바이어들을 전략적으로 초청·매칭시키는 수출 상담회(2회/2024. 3월, 11월)를 개최 할 예정이다.
또한, 정확하고 철저한 시장성 평가와 기존 수출 성과를 바탕으로, 실질적 수출 창출로 이어질 수 있는 국가·품목을 선정해 전략적 무역사절단을 4월부터 총 5회에 걸쳐 파견한다.
이차전지 소재·장비·부품 등 연관 산업의 납품처 다변화도 모색한다. 미주·유럽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인터배터리 유럽 2024’(2024.6.19.~6.21.)’와 ‘북미 라스베가스 코스모프로프(2024.7.23.~7.25)’ 등 지역 수출 산업을 이끌어갈 미래 신산업 분야의 차세대 전시회 참가를 지원해 신시장 개척을 돕는다.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해 경험이나 비용 부족으로 망설이는 기업을 위해서는 ‘해외전시회 개별참가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지역의 중소·중견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해외전시회 참가 비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지역의 수출 기업이 자사 품목에 가장 적합한 해외전시회를 직접 찾아 참가한 후 부스 임차료 및 장치비용을 최대 2,0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글로벌 신시장 개척에 도전하고 싶은 지역 기업은 26일~오는 3월 29일까지 대구 수출지원시스템(https://trade.daegu.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무역협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 지역의 수출지원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핵심원료 수출통제와 규제 등 대외 무역 환경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안중곤 대구 경제국장은 “신시장 개척을 통한 수출시장 다변화로 對중국 의존도를 완화하고, 수출 유관기관과의 공조체계를 시스템화해서 안정된 무역환경에서 지역 기업들의 수출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힘써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