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대학/교육

DGIST, 美 일리노이대와 피지컬 AI 공동 워크숍 ‘성료’

황보문옥 기자 입력 2025.06.16 11:27 수정 2025.06.16 12:01

국내외 최고 석학·기업 한자리에, 차세대 AI기술 로드맵

↑↑ DGIST 전경

DGIST(총장 이건우) 피지컬 AI 전략추진단이 지난 13일 서울 모드 라운지 학동점에서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김주형 교수와 공동으로 '2025 임바디드 AI/피지컬 AI 워크숍(2025 Workshop on Embodied AI/Physical AI)'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인공지능이 물리 환경에서 인식하고 판단하며, 스스로 행동까지 수행하는 '피지컬 AI(Physical AI)' 분야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 발전 방향을 공유하고, 국내외 전문가 및 산업계 간 기술 협력과 창의적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DGIST를 비롯해 서울대, KAIST 등 국내 대표 연구기관 연구진과 함께, 미국 일리노이대, 카네기멜론대,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등 세계적 연구진이 참여했다. 또한 LG전자, HD현대로보틱스를 비롯한 국내 대기업은 물론, 로보티즈, 위로보틱스, 홀리데이로보틱스 등 유망 스타트업 관계자들도 함께해 산학 간 활발한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워크숍은 ▲피지컬 AI의 정의와 한계 ▲센서 융합과 실시간 추론 기술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의 진화 ▲산업 및 사회적 적용 사례 ▲향후 기술 로드맵 등 총 5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발표 이후에는 PI급 연구자들의 심도 있는 패널 토론도 마련됐다.

DGIST 피지컬 AI 전략추진단 단장인 박경준 교수는 “피지컬 AI는 인공지능이 실제 물리 환경에서 인지하고 판단하며, 스스로 행동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핵심기술”이라며, “이번 워크숍을 통해 국내외 연구진 및 산업계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DGIST가 피지컬 AI 연구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는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국 일리노이대 전기컴퓨터공학과 김주형 교수는 “이번 워크숍이 한국의 피지컬 AI 분야 연구진이 국내외 협력 강화를 통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피지컬 AI분야에서의 연구 경험과 워크숍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DGIST의 전략 수립에 자문을 맡게 됐고, 이번 공동 워크숍은 그 협력의 첫 결실이라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