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경제

中, ‘사드 韓보복’강공 가능할까

뉴시스 기자 입력 2017.03.01 15:08 수정 2017.03.01 15:08

WTO 등 국제규범 탓 中정부 직접규제 어려워WTO 등 국제규범 탓 中정부 직접규제 어려워

롯데가 사드 부지를 제공키로 결론 낸 가운데 '롯데 제재', '한국상품 불매운동'을 부추기는 등 중국 당국의 노골적 경제 보복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롯데뿐 아니라 다른 중국 진출기업이나 對中 수출비중이 높은 기업들도 긴장 속에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공개적으론 "사드 보복은 없다"는 입장을 취하며 WTO 제소 등의 국제법적인 제재를 피하려 하고 있다.사드 보복이 정부 차원의 방침이나 지시가 아니라 소비자 등 민간 차원의 조치라는 점을 부각시켜야 하기 때문에 당장 취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인 여론몰이로 롯데, 한국산 제품 불매운동 부추기기에 나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위기감 속에 관련 업계에선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나 한중FTA 체제 하에서 취할 수 있는 조치엔 한계가 있다는 판단 하에 지금처럼 공갈·협박에 준하는 압박의 강도를 지속시키진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게다가 최악의 경우 롯데가 중국 사업장이나 투자를 접고 철수하게 된다면, 롯데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중국인들의 일자리 문제나 지자체 개발 사업에 큰 타격을 주기 때문에 중국 당국으로서도 부담이다.더 나아가 국내 소비자들도 중국의 이 같은 초강경 움직임에 상당한 반감을 표출하고 있어 상황이 지속될 경우 국내에서도 중국 상품 불매운동이 대대적으로 일어날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 정부가 사드 배치 문제로 롯데 등 中진출 국내 기업들에 대해 초 강경 모드를 취하고 있지만 최대한 자국의 이익에 피해가 가지 않는 선에서 롯데 등 한국기업을 압박해 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이 때문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기 보다는 중국 당국의 정책과 소비자 시장 간에는 어느 정도 괴리를 감안해 영업 전략이나 품질 경쟁력에 따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길을 장기적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업계에서도 이같은 점을 감안, 각자 처한 상황에 맞게 대응책을 지속 강구해왔다.상당수 면세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제재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중국의 보복이 실제화 될 경우 이를 완화하기 위해 개별 중국 관광객들을 위한 마케팅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견도 있었다.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선 지난해부터 사드문제로 인한 중국 매출 하락 우려가 있었으나 체감할 만한 매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언급이 나왔다. C 화장품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 사드와 관련해 크게 영향을 받은 부분은 없는 것 같다"며 "체감할 만한 매출 하락은 느끼지 못했다"고 밝혔다. 중국인들에게 큰 호응을 이끌고 있는 쥬얼리 브랜드를 보유한 패션업체도 비슷한 입장을 내놨다. E 패션업체 관계자는 "사드 문제가 지속적으로 이슈가 됐었지만 현장에선 매출 타격을 체감하지는 못했다"며 "하지만 상황이 어떻게 변할 지 모르는 만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은 맞다"고 말했다.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 식품회사는 관계자는 "사드 관련 이슈가 터진 이후 거의 매일 현지랑 계속 통화하면서 체크하고 있다"면서 "중국법인의 경우 중국인들이 저희를 글로벌 현지기업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토착화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애초에 중국에 진출할 당시 한국이나 한류를 강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드 영향은 없었다"면서 "현재도 그런 기류는 없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 회사는 지난해 사드 문제가 촉발된 이후 연말까지 중국에서 전년대비 두 자릿수 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뉴시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