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 내년 녹색자금 공모 83억 확보 생활녹지 공간·숲 체험 제공 한다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21.11.10 18:50 수정 2021.11.10 18:50

우리의 삶터엔 나무가 없다. 있다할 망정 도로가에 있는 가로수다. 가로수라고 하지만, 해마다 가지치기를 하는 바람에 밑둥치는 굵다 해도, 갈맷빛을 내는 잎은 거의 붙어 있을 정도다. 밑둥치에 비해, 나무의 둥치와 줄기를 보면, 안쓰럽다. 도시란 곳은 온통 회색의 도로·건물만 즐비할 뿐이다. 그럼에도 해마다, 나무는 없어지는 판이다.
지난해 10월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불법 산지 전용, 무허가 벌채, 도벌은 총 1만 4,779건이 발생했다. 이 탓에 산림 피해 면적은 3,000ha가 넘었다. 불법 산지 전용이 1만 2,834건, 무허가 벌채 1,605건, 도벌 140건의 순이었다. 경북은 1,733건이었다. 지난 10월 산림청의 ‘산림 내 불법행위 단속 현황’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6월까지 경북지역은 불법에 따른 산림 훼손 면적이 1,336㏊에 달했다. 피해액만 493억 원에 달했다.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었다. 전국적으로는 1만 8,585건의 산림 훼손이 발생했다. 피해 면적은 여의도 면적의 25배에 달하는 6,565㏊다. 불법 산림훼손의 73%는 불법 산지 전용이었다. 2016년부터 올해 6월까지 불법 산지 전용 건수는 1만 3,636건이었다. 피해 면적은 2,411㏊에 이른다. 불법 산지 전용 적발 사례 중에는 농경지 조성, 택지 조성, 농로 및 임도 개설이 다수를 차지했다. 심지어는 골프장과 스키장으로 산지를 불법 전용한 경우도 16건이었다. 이젠 아름드리나무를 보기위해서, 나들이에 나설 때다.
도시에도 각종 전신주 등만 없어도, 지금쯤엔 아름드리나무가 도시를 가꿀 것이다. 이런 전신주를 언제쯤 지중화사업을 하는가가 참으로 궁금하다. 이런 참에 경북도는 산림청 산하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주관하는 ‘2022년 녹색자금 지원공모사업’에서 사업비 83억 원을 확보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복지시설 나눔 숲’ 4개소, 무장애 나눔 길 1개소, 치유의 숲 1개소 등 총 6개소다. 나무야말로 경북도민들과 인류의 보편복지의 구현이다.
녹색자금지원 공모사업은 복권 수익금 재원을 이용해, 사회·경제적 소외·배려 계층에 산림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녹색 인프라를 확충한다. 이는 생활공간 주변에 녹지 환경을 조성하거나 개선해, 숲속 체험 기회를 확대한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사업이다. 이 중 사회복지시설·의료기관·어린이집 등 건물 외부 공간에 수목을 식재하여, 휴게공간을 조성한다.
‘복지시설 나눔 숲 조성사업’에는 포항 색동어린이집 등 4개소가 선정됐다. 사업비 6억 2,000만 원(녹색자금 100%)을 투입해, 복지기관 거주·이용자들에게 녹색 쉼터를 제공해, 정신적·육체적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장애우·노약자·임신부 등 보행 취약계층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숲을 즐길 수 있도록 턱이 없는 완만한 길을 조성한다.
‘무장애 나눔 길 조성사업’에는 영양 흥림산 자연휴양림에 1개소가 선정돼, 사업비 7억 원(녹색자금 60%, 지방비 40%)이 투입된다. 특히, 녹색자금 공모사업으로는 처음 실시하는 ‘치유의 숲 조성사업’에 전국 최초로 경북이 선정됐다. 구미 선산읍 노상리 일대 산림 50ha의 공간에 녹색자금 지원금 42억을 비롯해 총 70억의 사업비를 활용해, 내년부터 2025년까지 4년간 연차적으로 치유센터, 힐링 숲, 탐방로 등 특색 있는 복합적인 녹색공간을 조성한다. 경북도는 2010년부터 올해까지 녹색자금 98억 원을 지원받았다. 지역 전역에 복지시설 나눔 숲 83개소, 무장애 나눔 길 3개소를 조성했다.
최영숙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지역의 많은 사회적 소외·배려 계층이 산림복지 서비스로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해 나간다.
산림복지 서비스나 복지시설 나눔 숲 등은 참으로 오랫동안에 듣지 못했던, ‘숲 보편복지’다. 더구나 나무를 심으면, 관리에 따라 나무는 자란다. 이와 비례하여, ‘숲 보편복지도 자란다.’ 경북도는 자본으로 선택복지보단, 나무로써 ‘숲 보편복지를 구현’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