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경북도, “대한민국 식량안보 지킨다”

황보문옥 기자 입력 2024.10.06 09:03 수정 2024.10.06 15:44

‘경북1호 밀가루’ 첫 생산, 대한민국 농산업 혁신모델 제시
밀밸리·식량작물·경축순환 들녘특구 주주형 공동영농 ‘착착’
식량자급률 향상‧지방시대 농촌활성화‧농가소득 증대 실현

↑↑ 경북농업대전환_들녘특구_성과보고_및_밀밸리_준공식(경북_1호_밀가루_퍼포먼스)<경북도 제공>

경북도농업기술원이 지난 4일 구미 도개 밀밸리 특구에서 경북 농업대전환 들녘특구 밀밸리화사업 준공 및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밀밸리화 사업은 대부분 수입 밀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밀 산업 자급률을 증가하기 위해 추진하는 국가 정책사업 일환으로 경북도가 들녘 특구로 한 단계 고도화시킨 사업이다.

이철우 지사와 권재한 농촌진흥청장, 도, 시·군 관계관, 들녘 특구 참여 농가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리 밀로 제분한 ‘경북 1호 밀가루’첫 생산을 시작으로 지방시대 대한민국 농산업 혁신모델을 제시했다.

경북 농업대전환은 “땅을 가진 농민이 도시 근로자보다 왜 소득이 낮은가?”라는 이철우 지사의 고민에서 시작됐다.

우리나라 농업 기본 틀을 바꾸기 위해 지난 2023년부터 본격 추진하고 있는 핵심 프로젝트로 지난 6월 경북민생 토론회를 계기로 농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평가돼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들녘특구는 농업기술원에서 추진하는 농업대전환의 역점 시책사업으로 농지의 규모화와 이모작 기계화를 통해 식량자급률 향상은 물론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6차산업을 적용한 고도화로 농가소득 배가를 실현하는 영농모델로 밀밸리·식량작물·경축순환 등 3개 유형 4개 특구를 추진했다.

청년이 중심이 되어 공동체를 만들고, 땅을 가진 고령 농가는 주주로 참여해 공동체가 농지경영을 일임하며 소득은 배당 형식으로 지급하는 주주 형 공동영농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토지를 위탁한 농가는 토지 면적에 따라 소득을 배당받는 농지 위탁형과 영농에 함께 참여한 농가는 생산물 소득에 따라 배당받는 공동 영농형으로 운영하고 있다.

구미 밀밸리 특구는 90호 농가가 참여해 120ha로 농지를 규모화하고 여름작물인 콩에 이어 겨울작물인 밀과 양파를 이모작하는 공동영농형으로 농가소득은 벼농사 대비 콩과 밀은 1.7배, 콩과 양파는 5.8배까지 높이는 성과를 냈다.

특히, 국비 예산을 확보해 도내 최초 우리 밀을 전문적으로 제분하는 시스템까지 구축해 우리 밀의 원료곡 생산에서부터 건조·가공·유통까지 기업형 모델로 발전했다.

올해 100톤 규모 밀가루 생산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시범운영을 통해 연간 2000톤 규모 밀가루를 생산 할 계획이며, 2027년 이후부터 본격 가동을 시작하면 연간 1만 4000톤 밀가루를 생산해 경북내 밀가루 소비량의 14%를 자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미지역 11개 베이커리 업체와 협의체를 구성해 우리 밀로 만든 제과·제빵 제품 개발과 전문 매장을 운영하고, 지역 관광지인 신라불교 초전지와 연계하는 빵지 순례 프로그램으로 '지음밀愛 빵마을'을 조성해 농촌 공간을 활성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포항·경주 식량작물 특구와 울진 경축 순환 특구는 여름작물인 벼와 콩, 겨울작물인 밀과 조사료 등의 이모작 작부체계로 100ha 이상 규모화했고 참여 농가는 농지 위탁과 공동영농 복합형으로 운영하고 있다.

농지위탁형 농가는 기존 임대소득비 1.9~2.1배 소득을 배당 받았고 공동영농형 농가는 벼농사 대비 1.6~1.8배 소득이 증대됐다.

특히, 포항 특구는 카페형 청년 쉼터와 체험전용 딸기 양액재배를 통해 초보 청년 농업인의 배움+채움+휴식 프로그램으로 '청창농 공休마을'의 창업형 모델을 구축했다.

경주 특구는 전문 청년 농업인의 기계화 영농대행과 콩을 활용한 가공·체험·관광 종합프로그램으로 '豆근豆근 콩마을'의 협업형 모델을 구축했다.

울진 특구는 가축 조사료 열풍건조 가공 시스템과 농촌 마을문화를 접목한 황금들녘 경관관광 프로그램으로 '저탄소 牛리마을'의 상생형 모델을 만들었다.

이철우 지사는 “경북 농업대전환의 주주형 공동영농은 인구감소, 고령화 등 농업·농촌의 성장 동력 상실과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핵심 솔루션이다”며 “1차 생산 위주 농업을 농산업으로 전환 시키는 들녘 특구 모델은 청년이 돌아오고 돈이 되는 농사로 대한민국이 농업 강국으로 도약 할 수 있는 혁신 사례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황보문옥·이은진 기자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