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고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을 맞이하며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4.11.07 07:00 수정 2024.11.07 07:00

경북북부보훈지청 보훈과 정유미


11월 11일은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이다. 이 기념일을 알리는 어느 블로그에서 ‘11월 11일에 사이렌이 울렸어요. 그래서 울린 거였군요’라는 댓글을 봤다. 나도국가보훈부 공무원이 아니었다면 아마 모르고 지나갔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아직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하게 들리는 이 날은 2007년 11월 11일 캐나다 참전용사인 빈센트 커트니의 제안으로 6?25전쟁에 참전했던 유엔참전용사들이 안장된 부산 유엔 묘지를 향해 11월 11일 오전 11시에 1분간 추모 묵념을 실시했던 것을 시작으로, 2008년에는 국가보훈부 주관으로 추모 행사가 확대 됐으며, 2020년 3월에는 ‘유엔참전용사의 명예선양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첫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었다.

1950년 6·25전쟁이 발발했을 때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긴급 소집해 북한의 무력 공격을 ‘침략행위’로 선언하고 결의안을 통해 철수를 요구했으나, 북한군이 이에 불응하고 남침을 강행했고, 유엔 회원국은 북한군의 공격을 격퇴하고 국제 평화와 한반도에서의 안전을 회복하기 위한 원조를 제공할 것을 내용으로 한 ‘유엔 회원국의 북한군 격퇴 참여’를 결정했다.

당시 미국, 영국, 캐나다를 비롯한 총 22개 국(전투지원 16개 국, 의료지원 6개 국) 195만 여 명 유엔군 장병이 참전해 3만 명이 사망하고, 10만 명이 부상을 입는 등 이 땅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헌신했다.

유엔군의 도움으로 북한군의 남하는 지연될 수 있었고, 우리는 낙동강 전선에서 다시 북진할 수 있었으며, 한반도의 전쟁이 멈춰질 수 있었으나, 그 대가는 그들의 숭고한 목숨이었다. 73년이 지난 지금 우리가 밟고 있는 이 평화로운 땅이 그분들의 피와 눈물로 이루어진 것임을 우리는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국가보훈부에서는 올해도 유엔참전용사를 잊지 않고 11월 11일 오전 11시에 유엔기념공원에서 국내외 6?25참전유공자, 참전국 외교사절, 유엔군 관계자, 정부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묵념과 헌화 등 추모식을 실시할 예정이다.

풍전등화와도 같았던 대한민국을 외면하지 않고 희생을 마다하지 않았던 미국, 영국, 캐나다, 터키, 호주, 필리핀, 태국, 네덜란드, 콜롬비아, 그리스, 뉴질랜드, 에티오피아, 벨기에, 프랑스, 남아프리카공화국, 룩셈부르크 총 16개 전투 지원 국가와 참전 군인들, 또한 인도,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독일 총 6개 의료 지원 국가와 참전 군인들께 진심어린 감사와 존경을 표하며, 많은 이들이 1년에 딱 하루, 그리고 1분 만이라도 전몰용사의 희생과 넋을 기리며 묵념하는 시간을 가진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시간인지를 이번 11월 11일 턴투워드부산 행사를 통해 깨닫고, 더해 세계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