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안동시청 전경. |
|
안동시가 경북산불 피해 대응 및 이재민 대책 마련을 위해 의회 소집을 요구하고, ‘원포인트’로 1,430억 원 규모 긴급 추경예산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한다.
지난 3월 22일 의성에서 발생해 안동과 3개 군으로 확산된 산불이 일주일만인 지난 28일 주불이 잡혀 산불피해 응급복구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시는 신속한 피해 복구와 일상 회복, 민생 안정을 위해 긴급 추경을 편성을 결정했다.
먼저, 경북 재난지원금 지급 발표에 발맞춰 시 재난지원금 지급 예산을 편성했다. 경북 재난지원금은 전 시민을 대상으로 1인 30만 원을 지급하는 데 반해, 시 재난지원금은 실제로 주택 피해를 본 안동에 주민등록을 둔 세대를 대상으로 300만 원을 지급할 계획으로, 관련 조례 제정과 함께 도비 457억 원, 시비 43억 원을 반영했다.
주택 전소로 갈 곳을 잃은 이재민의 생활 안정을 위한 임시 주거시설용 조립식 주택 설치 예산 323억 원도 담았다.
특히, 자체 재난지원금과 임시 주거시설 확보 예산을 합하면 360억 원이 넘는데, 그동안 적립해 둔 통합재정안정화기금이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하게 됐다. 민선 8기 들어 건전한 재정운용으로 기금을 잘 관리해, 예기치 못한 전대미문의 재난에도 시민을 위해 적기에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고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산불피해 주민의 빠른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주거비, 생계비, 구호비 등 330억 원 규모 생활안정지원금 지급도 서두른다. 피해 조사 후 국비가 지원되기까지 1개월 이상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시비를 먼저 투입해 주민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다.
산불피해 농가에 대한 지원도 챙겼다. 영농철을 맞아 불타버린 농기계로 시름을 앓고 있는 농민의 적기 영농을 위해 관리기, 분무기, 트랙터, SS기 등 임대 농기계 구입비 55억 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현재 추진 중인 산불 피해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즉시 투입해야 하는 피해주택 철거와 잔해물·폐기물 처리 등을 위한 예산 113억 원도 놓치지 않고 챙길 계획이다.
권기창 시장은 “가용 재원과 인력을 총동원해 산불 사태의 조기 정상화에 전념할 것”이라며 “신속한 피해 복구와 시민의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