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연재 칼럼

청와대 전기차 5대, 제주도 전기차 1만대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8.05.01 19:22 수정 2018.05.01 19:22

정부와 지자체가 보조금을 얹어주면서 전기자동차를 보급하기 시작한 지 5년이 넘었지만 2017년 말 기준으로 전기차 보급 대수는 2만여 대에 불과하다. 대부분 전기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가 200㎞ 이하이고 충전시설이 미비하여 소비자들이 갈아타기 힘든 탓이다. 또 정부 보조금이 없으면 가격이 너무 비싸기에 소비자의 부담이 크다.
청와대가 현대자동차가 만든 전기차 '코나일렉트릭’ 다섯 대를 사들인다고 한다. 5월부터 청와대 직원들이 업무용으로 타게 된다. 코나는 1회 충전에 406㎞를 달릴 수 있는 스포츠유틸리티(SUV)다. 현재 코나를 사려고 예약한 사람이 1만8000명이다.
청와대가 전기차를 구입하는 이유는 미세먼지 대응에 솔선수범을 보이기 위해서라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다운 결정이다. 지지부진한 전기차 보급이 한 박자 빨라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기차 하면 제주도를 빼놓을 수 없다. 우리나라에 보급된 2만 대의 전기차 중 약 1만 대가 제주도에 몰려 있다. 도지사도 타고, 택시기사들도 타고, 관광객도 전기차를 타는 걸 흔하게 볼 수 있다. 충전시설도 국내서 제주도가 가장 완비되어 있다. 아마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전기차 밀집 지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 이렇게 제주도엔 전기차가 많은가. 중앙정부와 제주도 지방정부의 환경 정책의 코드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제주도 등 전국 10개 지역을 친환경차(전기차) 보급 선도도시로 지정하여 구입자에게 보조금을 지원키로 했다. 제주도는 2012년 세계자연보전총회(WCC) 개최를 계기로 ‘탄소제로섬 2030’(Carbon-free Island)이란 비전을 제시하며 청정 환경보전 정책을 폈다.
제주도는 전기차 시험장(테스트베드)으로 최적의 장소임을 내세웠다. 섬을 한 바퀴 도는 거리가 200㎞ 이하이고, 높은 고도(1100m)까지 도로가 뚫려 있으며, 태풍과 폭설 등 기후변화가 다양하여 아직 1회 충전 주행거리가 200㎞ 이하인 초기 전기차의 테스트베드로 안성맞춤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환경부는 시범지역으로 적당하다는 판단 아래 정부 보조금 지원 대수의 절반을 2017년까지 제주도에 몰아줬다.
제주도 전기차 소비자들의 반응은 점차 좋아졌다. 충전시설은 불편했지만, 써보니 1회 충전 주행거리 150㎞ 내외는 섬 나들이에 크게 불편하지 않았다.
택시 기사들도 연료비가 LPG차보다 4분의 1 정도로 저렴하여 전기차를 선호하기 시작했다. 제주도는 ‘전기차 테스트베드’의 자리를 굳혔다.
제주도가 통칭 ‘전기차 메카’가 된 데는 하나의 촉매가 있었다. 민간이 중심이 되어 지난 5년 동안 봄마다 개최하는 ‘국제전기차엑스포’(IEVE)다.
올해도 오는 5월 2일부터 6일까지 5일간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위치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5회국제전기차엑스포가 열린다. 이번에는 제주도가 보다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엑스포 방향을 전기차를 중심으로 하되 대체에너지와 ‘그린스마트시티’ 개념을 덧붙여 ‘탄소제로섬 2030’에 더 부합시킬 요량이다.
올해 전시될 전기차로는 현대의 ‘코나’가 하이라이트가 될 것 같다. 이 엑스포에 처음 나오는 벤츠는 하이브리드(PHEV) 모델 3개를 전시한다. 재규어랜드로바의 ‘아이페이스’, 기아의 ‘니로’신형, 르노삼성의 SM Z.E.신형이 나온다. 대동공업의 농사용전기차도 나온다. 작년 사드사태로 참석 못 했던 중국의 BYD는 전기차의 실용범위를 말해주려는 듯 청소차를 갖고 제주로 상륙한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처음으로 미국과 프랑스 기술진이 협력해 만든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이 예정되어 있어 관광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것 같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전기차메카로서 제주도가 할 일은 두 가지다.
첫째 농사용 전기차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특수목적 전기차 사용을 권장하고 규제를 완화하며, 이미 보급된 전기차 사용과 관련한 소비자의 행동을 조사하여 전기차에 대한 광범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분석하여 좋은 참고자료로 확보해두는 것이다. 둘째 제주도가 전기차에 관한 지식, 정보, 정책, 자료가 유통되는 전기차 관련 지식·정보 시장으로 육성해보는 것이다.

▲ 김 수 종 / 뉴스1 고문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