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대구시 지진관측망 구축, 안동시는 괜찮은가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8.05.23 17:07 수정 2018.05.23 17:07

포항본진 이후에 지난 4월 6일 오후 9시 9분 11초 포항시 북구 동쪽 41㎞ 해역에서 규모 2.6의 여진이 101번째로 발생했다. 이 같다면, 지진은 일상일 정도이다. 지진은 자연재해이다. 자연재해라도, 대처만 잘 한다면,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가장 시급한 것은 내진설계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진위험 학교는 6,133개교에 달한다. 교육부는 내진보강 예산을 확대해, 전국 유초중고 내진보강 완료 기간을 기존 2034년에서 2029년까지, 5년 단축한다. 올해부터 2024년까지 7년간 지방교육재정 교부금을 연평균 1,700억 원 지원에 따라, 총 1조1,900억 원을 지원한다.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이 유발지진인가. 아닌가를 두고, 어느 정도로 소모성 논쟁만 부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내륙을 관통하는 활성단층 영향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안동 단층’이 지나는 안동지역에 대한 학계의 우려가 나왔다. 포항 지진의 진앙과 거리가 60~70㎞에 불과하다. 안동댐과 임하댐이 ‘안동 단층’ 위에 건설됐다. 최근 안동지역 지진 대부분이 안동?임하댐 주변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동 단층’과 양 댐의 안정성에 대한 체계적 조사가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실제로 지난 2010년 이후 안동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 7차례 중에 6차례가 안동?임하댐 주변에서 발생했다. 이 정도의 상황이라면, 안동시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다.
대구시는 지진대책을 수립했다. 대구시는 부경대학교(부산)와 초소형 지진가속도계측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진도지도의 해상도를 높인다. 피해예측의 정확성과 신속성도 더한다. 지진학 연구 활성화와 지진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23일 부경대학교에서 맺었다.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및 대피방법에 대한 홍보와 교육은 체계적으로 진행되고는 있다. 하지만 지진재난에 대한 대응과 복구를 위한 시스템은 아직도 걸음마 단계이다. 지진관측소간 거리가 멀고, 시내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고해상도 진도정보를 생산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구시는 2016년 ‘9?12지진’ 이후 ‘지진방재 5개년 종합대책’을 세웠다. 매뉴얼 정비, 지진 대피소 추가지정 및 정비, 공공시설물 조기 마무리 등 다양한 지진방재 정책을 내놨다. 2017년 ‘11?15지진’ 후에는 각 분야 전문위원이 참여하는 지진방재 T/F를 구성했다. 대구시 맞춤형 지진 방재정책 발굴에 행정력을 다하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대구시 청사를 마지막으로 모든 구·군과 주요 시설물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가 완료됐다. 지진가속도계측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마무리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협업하여, 지자체 최초의 지진분석시스템을 갖췄다. 보다 빠르게 지진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신속지진대응시스템’ 구축이 올해 7월에 마친다.
지진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위치와 규모를 파악해야 한다. 실제 피해를 예측하고 방재활동에 활용하기 위해서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진도정보를 시범적으로 제공한다. 대구시내 1개소의 자료를 기준으로 대푯값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실제 시민이 체감하는 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구시에서 설치한 지진가속도계측기 자료를 함께 포함되더라도, 시내권역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부 인구 밀집지역과 외각 지역의 진도값을 산술적으로 유추하는 수준에 그친다. 이에 따라, 지난 23일 대구시와 부경대학교가 업무협약을 맺었다. 해상도의 진도정보 생산을 위한 고밀도 지진관측망을 설치한다. 고밀도 지진관측망 자료를 활용해, 대구지역의 지진학적 특성 연구와 지진 전문 인력 양성에 협력한다. 부경대학교 강태섭 교수팀은 MEMS(초소형 지진가속도계측기)를 대구지역에 40여 개소를 설치한다.
대구시는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장소와 자료 연계를 위한 기반시설을 제공한다. 여기서도 문제는 있다. 현재 대구시의 건물 중엔, 내진설계가 안된 것도 있다. 이를 내진 보강해야한다. 새로 신축 건물엔 ‘내진설계실명제’를 도입해야한다. 안동시도 마찬가지이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