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몽골에 경북형 농법, 국제공동연구 추진 협약 체결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8.05.24 18:17 수정 2018.05.24 18:17

농업의 근원적인 순기능은 해당국가에 먹을거리를 공급하는 영농체계이다. 과거엔 농업이 식품공급체계만을 담당했다. 지금은 농업의 광범위한 산업화의 자본으로 가고 있다. 때문에 식품공급체계가 복잡하다.
더구나 산업적 가치로 환산되지 않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엔 공익적 가치가 숨겨있다. 바로 공공재적인 성격이다. 도시와 농촌의 지역균형발전을 하려면, 재정의 투입이 많이 든다.
만약에 농업이 없다면, 더 많은 비용이 들 것이다. 농업이 있음으로 절감된다.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는 환경보전 기능, 사회문화적 기능, 농촌 활력유지 기능, 식량안보 기능이 있다.
농업을 보는 것이 이 정도라면, 도시의 경제를 떠받치는 경제발전과 경기 활성화의 두 기둥과 같다. 그렇지만, 농업은 그 지역의 기후와 풍토에 따라, 특화되는 측면이 있다. 농업이 낙후된 지역이든 국가이든, 농업은 맞춤형으로 가야한다. 경북도는 지난 23일 몽골 움느고비 지역의 아마르자야 국회의원과 몽골 국립농업대학교 나상자르갈 교수를 농업기술원으로 초청했다.
‘경북도농업기술원-몽골국립농업대학간 국제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 이어 농업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방문한 아마르자야 국회의원과 나상자르갈 교수 등 방문단은 20~23일 4일간의 일정으로 국회의사당을 방문했다. 경북도와 국제공동연구 협약 체결에 이어 참외, 딸기 관련 시설 재배기술 등 선진 농업 기술현장을 견학했다.
몽골은 석탄, 동, 아연 등 천혜의 자원을 풍부하게 보유한 세계 10대 자원부국이다. 면적이 남한의 16배나 된다. 영토 대국이다.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초원이 많아 개발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목축업이 발달됐다. 열악한 기후 조건을 극복하고 넓은 초원을 활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농업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경북도는 이번 협약으로 몽골 현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설농법 등 경북의 선진농업기술에 대한 연구 교류 및 협력을 추진한다.
경북도는 지난 2009년 5월부터 농업과학기술 교류를 위한 공동협력협정을 체결했다. 몽골과 농업분야에 있어서 국제 공동연구를 추진했다. 경북도에서 육성한 식량작물과 과채류, 화훼류 등의 몽골 현지 적응성 검토를 실시했다. 경북도가 육성한 딸기 품종인 ‘싼타’는 2013년부터 몽골 현지에서 묘 생산에서 수확까지 성공해, 현지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몽골 옴느고비 지역의 아마르자야 국회의원은 경북은 시설 하우스 재배기술이 우위에 있고 연중 다양한 신선채소가 생산,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경북도의 선진 시설농법과 기술 습득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 교류와 협력을 통해 몽골 농업이 한 단계 발전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곽영호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이번 국제공동연구가 몽골의 농업 발전 정책에 도움이 되어 황무지를 기회의 땅으로 탈바꿈하는데 기여하고, 향후 경북의 뜻있는 농업인의 해외 농업 진출을 위한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번의 체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몽골 현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설농법이다. 또 초원은 황무지가 아니다. 전통적으로 목축업의 발달했다. 이상의 세 가지를 잘만 고려한다면, 경북의 선진 농법이 몽골에서도 성과를 도출할 수가 있을 것이다. 이는 경북 맞춤형이 아니고, 몽골의 맞춤형이다. 아무리 선진농업이라도, 농업은 힘든 일이다. 여기에서 몽골의 농업에서, 젊은이들이 요구된다. 몽골의 젊은이들을 유혹하려면, 노력한 대가만큼 수입이 창출되어야한다.
경북도는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비할, ‘청년 농산업인 인력양성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기 위해서 2021년까지 1천 호 이상 청년 귀농 창업가구를 육성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5개 분야에 총 338억 원을 투자한다. 몽골도 이와 같은 계획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세워야만 경북의 선진농법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 수가 있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