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도시는 도로와 교통으로 구축됐다. 도로와 교통은 우리들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한다. 제공과 정비례로 교통사고라는 것의 불운도 우리들에게 안겨주고 있다. 더구나 학생들의 등하굣길에서 유독 사고가 다발한다.
서울대병원과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공동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달 5월 어린이·청소년 보행자 교통사고는 하루 중 오후 5시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전국 23개 병원 응급실을 찾은 15세 이하 환자 6천95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였다. 4년 동안 보행 중 교통사고를 당해 숨진 어린이는 총 52명(0.8%)이었다. 어린이 교통사고는 오전 9시 이후부터 점점 증가했다. 오후 5시에 최고조를 기록했다. 이 중 오후 5시대에 하루 어린이 교통사고 중 12.4%(865건)가 집중됐다. 사망률도 1.0%(9건)로 평균치였다. 교통사고를 당한 어린이들은 초등학생(44.9%), 미취학 아동(40.3%), 중학생(14.8%) 순이었다.
지난 2월 질병관리본부의 ‘2011~2015 보행자 교통사고 입원 환자 조사’ 분석 결과에 따르면, 5년간 보행자 교통사고로 입원한 환자는 총 28만5,735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입원자 중 15.4%였다. 14세 이하 아동의 경우 교통사고 입원 환자 중 보행자 사고로 입원한 비율이 37.4%로 가장 높았다. 14세 이하 아동의 경우, 오전 9시 이전 등교 시간 사고 발생률이 28%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10월 통계청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운수사고(교통사고)는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작년 OECD 기준 한국의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률은 10.0명을 기록했다.
한국보다 교통사고 사망률이 높은 OECD 회원국은 멕시코(2014년 15.7명), 칠레(2014년 12.3명), 미국(2014년 12.0명), 라트비아(2014년 11.9명), 터키(2013년 10.3명) 뿐이었다. 영국(2013년 2.8명), 스웨덴(2015년 3.1명), 일본(2014년 3.7명)은 교통사고 사망률이 크게 낮은 안전한 국가였다.
한국 교통사고 사망률은 1995년 49명으로 정점을 찍고서 점차 감소했다. 1998년 처음으로 30명대(33명)를 기록했다. 2001년에는 20명대(27.4명)로 내려왔다. 2006년에는 처음으로 10명대(19.9명)로 줄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13.9명→12.6명→11.6명→11.1명까지 감소했다. 21년 사이에 교통사고 사망률이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OECD 국가와 비교하면, 낮지 않은 수준이다. 하지만 과거와 비교하면 크게 감소한 것이다.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한 시점부터 교통사고 사망률이 크게 낮아졌다고 평가했다. 교통사고와 무관하지 않는, 2016년 경찰 공무원 정원은 11만4천658명이었다. 2015년보다 1.4% 증가했다. 정부는 경찰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총 2만 명을 증원할 계획이다. 경찰의 인구부담률을 보면, 경찰 1인당 담당인구는 사회 안전 및 치안유지를 위한 기본 인프라의 구비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이나. 그럼에도 경찰의 인구부담률은 근 500여명에 달한다. 여기에서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든 것을 경찰의 인력에 맡기기보다는 개인 각자가 교통사고의 예방에 주력해야한다. 어린 학생들의 도로안전은 경찰은 물론 학부모들이 학생들의 등하굣길을 지켜줘야 한다.
경산경찰서는 스쿨존 어린이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지난달 29일 부림초등학교 앞에서 녹색어머니회, 부림초 교직원 등 60여명이 등굣길 교통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 이날 캠페인은 ‘어린이 횡단보도 안전하게 건너기’ 안전보행 지도와 어린이보호구역내 주정차 위반 단속 등 사고예방 및 홍보에 집중했다. 앞으로도 경산경찰서는 녹색어머니회와 함께 지역 초등학교를 순회하며 스쿨존 교통안전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정부는 경찰의 인구부담률을 보다 줄이기 위한, 경찰의 인력의 확보에 재정을 투입해야한다. 경산경찰이 학생들의 교통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민안전이다. 이 같은 안전은 국민행복의 구현으로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