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2022년까지 청년농부 2천명, 청년CEO 육성한다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8.06.21 15:54 수정 2018.06.21 15:54

농업의 원천적의 목적은 식품공급체계를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다. 농업의 다원적인 순기능은 공익적 가치의 현실구현에 있다. 농업 인력은 공공재적인 것의 성취가 최고의 목적이다. 농업을 말할 때마다, 농촌 인구의 고령화나 공동화를 말한다. 그러나 이젠, 이보다는 농촌 인구나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앞으로는 소멸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농촌 경제는 도시의 경제를 떠받치는 밑절미이다. 이를 지금 해소하지 못한다면, 우리 농촌의 미래는 없을 것이란 예측까지 나온다. 그 어떤 업종에 종사하든 신자유주의의 경제체제에선 부(富)의 창출이 최대의 목적이다. 농촌에서 부를 창출하기엔, 이제 너무 늦었다는 감을 지울 수가 없는 요즘이 아닌가한다.
이런 상황에서 경북도는 청년의 창농(創農)에 온 행정력을 다하기로 했다. 우리 농촌에 젊은 피를 수혈하여, 우리 농촌의 판세를 바꾸겠다는 농정 변화의 시도이다.
변화하지 못하고는 살수가 없는 시대에서, 도시를 떠받치는 우리의 농촌부터 변화를 시도한다는 의지의 발로이다. 현재 경북 농촌은 청년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한다. 때문에 평균연령도 상승한다. 지방 소멸시대에 돌입했다는 것이다. 급기야 농업 인력의 급격한 감소라는 현실에 맞닥트렸다. 최근 4차 산업 혁명, ICT 기반 스마트 팜 등 농업분야도 첨단화되어감에 따라, 미래 경북농업의 혁신성장을 이끌어갈 청년농부 육성이 시급한 실정에 직면했다.
경북도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청년농부 2천명 육성을 목표로 삼았다. ‘예비농업인 창농 마인드 함양, 현장실천 역량강화, 청년CEO 사업영역 확대’라는 3대 전략에 따른 10대 핵심과제를 선정하여, 2천10억 원을 투자한다. 청년들이 농촌에 정착하는 과정을 ‘탐색-유입-정착-성장’의 4단계로 나눴다. 수요자별 맞춤형 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 농과계고에서부터 대학, 일반에 이르기까지 현장중심의 맞춤형 보육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농업?농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창업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수 있는 청년 농산업 창업지원센터(경북대, 안동대, 대구대)를 활성화한다.
후계인력의 육성에도 주력해 나간다. 청년들의 농촌이주와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창농과 영농 정착에 필요한 자금을 매년 1천만 원까지 3년간 지원한다.
청년들의 아이디어와 농업?농촌자원을 결합하여, 산업화한다. 지역 공동체의 상생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자금 지원 등 다양한 재정지원을 뒷받침해 나갈 구상을 짰다.
경북도는 (사)경북세계농업포럼, 청년농산업창업지원센터와 함께 지난 20일에 안동대학교 국제협력관 대회의실에서 창농을 희망하는 200여명의 청년들이 참석하여, ‘푸른 꿈 푸른 희망 경북청년 창농의 나래를’이라는 주제로 ‘경북 청년 창농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경북도의 청년 창농 활성화 정책방향을 설명했다. 이어 정부에서 추진 중인 창농 관련 교육과 지원 프로그램 등도 함께 소개했다. 패널로 참석한 청년들이 농촌에 이주?정착하면서 겪었던 현장에서의 애로사항 등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되었다. 새로운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지금은 청년 실업시대이다. 이 같은 청년들에게, 농촌에 청년이라는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으려면, 우리 농촌에도 희망이 있다는 점을 깨우치도록 해야 한다. 지난 18일 취업 포털 잡코리아와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이 최근 취업 준비생 1천474명을 대상으로 희망급여에 대해 공동 설문조사를 한 결과, 첫 월급 희망액은 평균 223만4천원으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240만7천원과 208만1천원이었다. 도시에서 태어나, 도시에 뿌리를 박고 살던 청년을 농촌으로 오게 하려면, 위의 설문 조사를 참고 해야한다. 이보다는 더 많아야만 된다는 뜻이다. 청년 창농에 예산만 투입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앞으로 경북도는 청년의 창농에서, 성공을 거두려면, 그들의 희망 연봉이 구현되어야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