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농촌 실상을 말할 때는 고령화와 공동화에 대한 대책 수립만을 말한다. 이도 당대가 풀어야할 숙제이지만, 우리 농산물인 토종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 농토에서 살아지고 있다. 벌써 토종 밀은 없어졌다. 밀가루는 모두가 수입산이다. 이제 시간만 흐른다면, 우리의 주식인 쌀도 밥상에서 살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가 있는 지금이다. 농부가 쌀농사를 지어도, 그에 상응하는 수입이 없는데 기인한다. 지을수록 손해가 바로 농사이다. 또 농사는 자연의 재해를 많이 받는다. 홍수와 가뭄이다. 또 풍년과 흉년이다. 도대체 예측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농가 및 어가 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평균소득은 1년 전보다 2.8% 오른 3,823만9,000원이었다. 평균은 이렇지만, 지역별로는 편차가 컸다. 농가소득이 가장 높은 제주와 가장 낮은 전북의 경우 무려 1,768만7,000원이나 차이가 났다. 이는 아마도 농사에서 무엇을 짓는가에 따라, 수입의 편차가 컸다고 여긴다.
지난 4월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논 타 작물 재배 지원 사업’(쌀 생산 조정제) 신청 실적은 2만8천㏊이었다. 농식품부가 올해 목표인, 5만㏊의 56% 수준이었다. 해마다 쌀 소비가 감소하는 반면, 과잉 생산이 지속했다. 때문에 가격이 폭락하는 현상이 되풀이됐다.
벼 재배 면적을 적정 수준으로 감축하기위해, 이 제도를 추진했다. 지난 3월 통계청에 따르면, 현재 산지 쌀 값(80㎏ 기준)은 16만9천264원이었다. 지난해(12만8천356원)보다 31.8%가 올랐다. 쌀값이 가장 낮았던 지난해 6월(12만6천640원)과 비교하면, 무려 33.6%가 올랐다. 2015년(16만764원) 이후 3년 만에 16만 원대를 회복했다.
하여튼 이와 같은 농업의 현실을 어떻게든 타개해야한다. 이에 경북도 농정이 행정력을 발휘했다. 경북도는 지난 20일 도청에서 시군?유관기관?농업인 단체 등 40여명이 참석해, 올해 논 타 작물 재배 지원 사업에 참여한 농업인들이 안심하고 농사지을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한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당면한 농정현안에 대한 논의도 했다. 이번 회의는 올해 논 타 작물 재배 지원 사업에 참여한 농업인이 파종?식재한 작물의 재배기술 지도?컨설팅 등 현장기술지원단 운영과 시군 농기계 임대사업소의 타 작물 참여 농업인 농기계 지원 등 후속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향후 생산되는 농산물의 안정적 판로확보 방안도 강구했다. ‘논 타 작물 재배 지원 사업’은 논에 벼 대신 다른 소득 작물을 재배하여, 누적되는 쌀 과잉 생산을 사전에 차단한다. 쌀 수급 안정 및 타 작물의 국내 작업률 제고를 위해 추진한다. 2018~2019년 정부 주요 시책사업이다.
경북도의 올해 전환목표 면적은 벼 재배면적 9만9천551ha의 6.6% 수준인 6천595ha이다. 18일 현재 면적 4천14ha(목표면적 6,965ha의 60.9%), 1만1천182농가가 사업에 참여했다. 주요 신청 품목은 콩 1천173ha, 조사료 1천172ha, 참깨 151ha 등으로 집계됐다. 경북도는 추가 신청기간인 내달 15일까지 마늘?양파 후작지 등 2모작 위주의 농지를 추가 참여시키는데 행정력을 집중한다.
이날 추진협의회 3차 회의에서 농가가 자발적으로 사업에 참여해 준만큼 안심하고 농업에 임할 수 있도록, ‘논 타 작물 재배 지원 사업’특별 지원기간(5월~10월말)을 설정했다. 시군 농업기술센터별로 재배 기술지도?컨설팅 전담반을 운영한다. 시군 농기계임대사업소의 타 작물 참여 농가(단체) 상시 농기계 이용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농협?축협을 통한 사료작물 책임 판매, 지역 로컬푸드 직매장?하나로 마트 취급물량 확대 등에 대해 중점 논의했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농업인들이 영농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타 작물로 변경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쌀을 생산하여, 수입을 창출할 수가 있도록 해야만, 우리의 밥상을 지킬 수가 있다. 대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