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수돗물오염 분통, 대구참여연대 '취수원 이전보다 유해물 차단부터'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8.07.08 17:59 수정 2018.07.08 17:59

어느 지자체를 막론하고, 모든 시민들은 오염되지 않는 깨끗하고 맑은 물을 먹고 싶다. 이 같이 소박하고 당연한 시민들의 소망을 당국은 늘 배반으로 일관하는 판이다. 낙동강의 오염은 어제오늘의 사건이 아니다. 수돗물의 사고가 났다고 하면, 수돗물에 발암물질이 아니면, 마시면 안 되는 물질이 우리의 몸속으로,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들어간다. 이게 바로 대구시 수돗물의 일관된 정책이다. 이 같은 일이 터지면, 외국의 저명한 단체의 이름을 들먹이면서, 권고치의 이하이라고 말한다. 이젠 이 말조차 하도 많이 들어서, 귀를 기우리는 시민들은 없다. 또 대구시의 정책집행자들이 수돗물을 한잔을 들고는 물을 마시는 시늉을 하면서, 물맛이 좋다는 큰 사진이 보도되곤 한다.
지난달 대구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과불화화합물 중에서 〈발암물질로 분류〉된 과불화옥탄산(PFOA) 수치가 지난달 25일 현재 문산정수장 0.017㎍/L, 매곡정수장 0.012㎍/L를 기록했다.
이 같은 발암물질을 두고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치(4.0㎍/L)의 230분의 1 수준이라고 말을 한들, 우리의 몸속에서 배출된다고 해도, 지속적으로 쌓인다면, 암을 발생시키지를 않는다고 그 누가 장담할 것인가. 참으로 분통이 터지는 수돗물이다.
2017년 12월 수돗물홍보협의회와 수돗물시민네트워크에 따르면, 수돗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응답자들은 주로 정수기(34.3%) 물을 먹었다. 먹는 샘물을 사 마신다(13.1%)거나, 지하수·우물물·약수 등을 마신다(3.2%)는 응답도 있었다. 달마다 꼬박꼬박 수돗물 요금을 내면서, 먹는 샘물을 사서, 먹는다면, 시민들은 수돗물의 봉 노릇에 질린다.
이 같은 것에 대한 대책을 대구참여연대가 내놨다. 대구참여연대는 지난 5일 성명을 통해, 유해물질을 차단하고 수질을 개선하면, 굳이 취수원을 이전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지 않은가. 취수원 이전이 무슨 만병통치약이라도 되는 것인가로 비판했다.
취수원 이전으로 모든 문제들을 덮고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한다면, ‘취수원 이전 이전에 유해물질 차단, 수질개선부터 먼저 하라’고 요구했다. 대구참여연대는 구미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이 대구시민이 먹는 수돗물에서 검출돼, 식수 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한번만도 아니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신종 화학물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앞으로도 재발할 개연성이 높기 때문에 걱정이 더 큰 것이라고 주장했다.
구미시와 경북도를 향해 구미 산단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경북도와 구미시가 대구시민들에게 사과부터 먼저하고, 유해물질 차단 대책을 발표하는 것이 도리이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지난 기간 이러한 노력은 전혀 없었다. 취수원 이전은 반대하는 이기적 태도를 보여 왔다고 비난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취수원 이전 검토’ 발언에 대해 지금 와서 취수원 이전 검토 운운하는 것도 대구시민들을 농락하기는 마찬가지이다. 구미시가 반대하면 불가능한 일인데도, 구미시장과는 합의도 없이, 도지사가 취수원 이전을 말한 것도 정치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게 만약에 정치적인 수사라면, 수돗물을 두고서, 정치놀음을 한다는 비난을 받기에 꼭 알맞다. 대구 시민들의 먹는 물에 대한 불안을 이해하고 해결할 진정성이 있다면, 언제 될지도 모르는 취수원 이전에 앞서 환경부가 발표한 구미 산단 유해물질 규제와 무방류 시스템 구축, 낙동강 보 수문개방 등 할 수 있는 대책부터 추진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참여연대는 충분한 정보공개, 유해물질 실태 및 건강피해 조사 등을 먼저 실시해야한다.
낙동강 보 수문개방 등의 대책에 구체적 방안과 로드맵을 제시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위 같은 말은 대구시민들의 분통을 대신해준 말과 같다. 이제 대구시, 구미시, 경북도가 답할 차례이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