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영덕 천지원전 건설‘올스톱’ 활성단층 투명 공개가‘열쇠’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6.11.08 16:39 수정 2016.11.08 16:39

영덕원전의 그동안 추진과정에서 2016년 8월 21일 군과 한수원 등에 따르면, 천지원전은 군이 2010년 12월 30일 군의회에 유치동의안을 제출해 영덕군의회 7명 의원 전원찬성으로 의결돼 유치 신청서를 제출했다. 정부는 2012년 9월 14일 전원개발사업 예정구역으로 지정고시했다. 지난해 9월 14일 제7차 국가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해 2026~2027년까지 원자력발전소 2기 건설이 확정됐다. 영덕 천지원전은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150만kW급 대용량 원자로인 ‘APR+’노형이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APR+는 2007년 8월 개발에 착수해 7년 만인 2014년 8월 14일에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표준설계 인가를 취득했다. APR+는 한국표준형원전(OPR1000)과 UAE수출 노형인 차세대원전(APR1400)을 토대로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높인 것이 특징이다. 원자로 건물 돔 부위 벽두께는 APR1400 노형이 107㎝인 것과 견줘 122㎝로 두꺼워지고, 보조건물은 152㎝로 설계했다. 이후에 경주 지진의 여진이 400여 차례가 발생했다. 여기에서 문제는 활성단층이다. 국민안전처는 내년부터 2021년까지 지진 빈발 지역과 인구 밀집 대도시를 중심으로 활성단층 연구개발 추진계획을 밝혔다. 원전의 안전담보는 활성단층의 지도의 투명한 공개가 관건이다. 경주지진 땐 국민안전처는 ‘전진’ ‘본진’ ‘여진’조차 구분 못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희진 영덕군수는 지난 7일 영덕군청 3층 회의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지진발생으로 인해 변해버린 지역민심을 염두에 둔 듯 군민의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명목에 따라 3대 요구사항을 발표하고, 원전관련 모든 행정적 업무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3대 요구사항은 신규 원전예정지역의 조속한 지질조사를 강력히 촉구한다. 지질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천지원전 건설추진을 중단한다. 영덕 병곡면 덕천리에서 낙동강 하구까지의 양산단층대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지질조사결과의 투명한 공개 등이다. 영덕발전소통위원회에서 건의한 원전건설 중단 또는 유보사항을 존중한다. 군정의 최우선을 군민의 안전에 두겠다고 밝혔다. 영덕군장기발전계획에 반영된 사항들은 지질조사결과에 따라 내용을 군민 의견수렴을 거친 후 수정 내지는 보완하도록 절차를 밟아나가겠다고 말했다. 활성단층은 200만 년 전 이후 한 번이라도 움직인 단층, 활동성단층은 50만년 이내 두 번 이상 활동한 단층을 뜻한다. 2012년에 완성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보고서가 은폐 의혹이 제기된 상황이다. 공개를 했다할망정 은폐의혹이 제기된다면, 이를 보는 국민들은 투명성이 결여했다는 의혹만 증폭시킬 뿐이다. 천진원전의 중단 선언도 이 같은 의혹에 기초했다고 여겨, 정당성과 합리성이 있다. 3대 요구사항도 군민의 안전이라고 말했으나, 원전의 안전은 나라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이다. 이젠 한수원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답할 차례이다. 정답은 재조사에 따른 활성단층의 투명공개이다. 2012년에 완성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은 경주지진 이전이다. 국민들은 경주지진의 이후를 걱정한다. 다시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은 여기에 근거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수원은 이제부터, 영덕군이 요구한 사항들의 해결과 해소에 앞장설 것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