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은 내분비내과 문재훈, 김경민, 장학철 교수 연구팀이 해면질골 미세구조 분석법을 이용, 기존 골다공증검사로 이상이 없었어도 골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뼈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가장 널리 쓰이는 일반적인 방법은 흔히 '골다공증 검사'로 알려진 골밀도 검사로, 인체 특정부위의 뼈의 치밀도를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이란 방법을 통해 평가한다. 연구팀은 갑상선암 수술 후 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요법을 시행하며 추적관찰 중인 폐경 후 여성 환자 273명의 검사결과를 분석했고, 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요법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해면질골 미세구조를 나타내는 Trabecular Bone Score(TBS)가 감소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이같은 결과는 환자의 나이, 체질량지수, 골밀도에 무관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갑상선암 수술 후 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요법을 3년 미만 시행한 환자의 TBS는 정상에 가까운 반면 5년 이상 시행한 환자에서는 TBS 감소가 확연히 나타났다.논문의 1저자인 내분비내과 문재훈 교수는 "갑상선암 환자에서 수술 후 갑상선암의 재발을 막기 위해 갑상선호르몬제 투여 시 갑상선호르몬 농도를 높게 유지하도록 투여용량을 조절하는 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요법을 일반적으로 시행하는데, 이것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해면질골 미세구조에 변화를 일으켜 골강도 약화로 이어질 수 있음이 규명됐다. 이같은 골강도 약화는 기존의 골밀도 검사로는 잡아내지 못함을 보인 것이 이번 연구의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내분비학 분야의 권위지인 '임상내분비대사학회지(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온라인 판에 출판돼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