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로밍(Roaming) 기술을 사용해 해외 감염병 위험지역에 다녀온 여행객을 확인, 검역·질병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이 시행된다. 로밍정보를 국가방역에 활용한 세계 최초 사례다.질병관리본부는 오는 16일부터 미래창조과학부의 빅데이터 선도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 시범운영을 실시하고 내년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이 사업은 서로 다른 지역의 사업자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로밍 서비스 정보를 활용해 감염병 오염국가에서 국내로 입국하는 사람을 확인 후 감염병 잠복기간 동안 모니터링하는 검역정보화 사업이다. 우선 16일부터 이동통신사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이 시작되며, 내년 1월부터 사업이 본격화된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조만간 시스템 구축을 시작해 내년 4월부터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다.질병관리본부는 지난 5월 KT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시스템 구축을 진행해왔다.KT는 로밍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여행객의 입출국 정보를 보건당국에 제공하고 질병관리본부는 이 정보를 활용해 감염병 위험국가를 방문하는 여행객에게 ▲출국후 ▲입국직후 ▲입국 5일째 ▲입국 10일째 총 4번에 걸쳐 문자 메시지로 감염병 정보와 의심증상 발견시 조치사항 등을 문자로 안내한다. 이 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운영 중인 의약품안심서비스(DUR·Drug Utilization Review)와도 연계돼, 오염지역을 다녀온 여행객이 의료기관 방문 시 의사에게 제공돼 감염병 예방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여행객의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는 일반적인 감염병 잠복기간인 14일(2주)간 활용이 가능하며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폐기 된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사업은 지난해 메르스 환자 유입에 따른 방역체계 개편을 통한 법 개정이 이뤄짐에 따른 조치"라며 "향후 정보통신기술(ICT)를 기반으로 한 해외감염병 예방과 대응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