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가뭄에 단비 2년 연속 전국 최다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9.10.14 18:53 수정 2019.10.14 18:53

 일자리 중에서도 청년들의 일자리 만들기는 지자체의 책무이다. 일자리가 없는 지역은 사람이 살지 못하는 지역이다. 일자리가 없이 사회에서 떠도는, 일자리 유민(流民)들은 사회를 불안하게 한다. 불안한 사회에는 경제발전이나 경기의 활성화는 없다고 단정할 수가 있다.
일자리 만들기는 행복 만들기이다. 행복과 보편복지는 다 같은 뜻이다.
지난 9월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일자리 사업 예산은 모두 25조7천697억 원이다. 이 같은 천문학적인 재정을 투입해도, 체감할 수가 없다.
내년도 구직급여 예산은 9조5천518억 원으로, 10조원에 육박한다. 예상 지원 대상은 137만 명이다. 올해 구직급여 예산(7조1천828억 원)과 지원 대상(121만 명)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지난 8월 취업포털 잡코리아에 따르면, 매출 기준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하반기 대졸 신입직원 채용 계획을 최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248곳 중 54.4%(135개)가 계획이 없었다. 일자리 인큐베이터(incubator)가 이런 형국이니, 일자리는 난항(難航)이다.
이참에 경북도가 일자리창출에 모법을 보였다. 경북도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2020년도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 공모에서 2년 연속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국비 326억 원을 확보했다.
내년도 행안부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사업 총 예산은 2,441억 원이다. 이중 경북도가 13.4%에 해당하는 326억 원을 확보해, 17개 광역자치 단체 중에서 가장 많았다.
경북도는 지난 9월 행안부의 2020년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공모에 77개(계속 31, 신규 46)사업에 474억 원을 신청했다. 이중 47개(계속 24, 신규 23)사업이 선정돼, 326억 원이 배정됐다. 이는 올해 2,774개 일자리 창출이 소요된 국비 294억보다 16% 늘어난 금액이다. 내년도에는 3,300여 명의 청년들에게 일자리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의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은 기존 국고보조사업 방식을 탈피해,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한다. 사업을 기획하는 지자체 주도의 상향식(Bottom-up)일자리 사업으로 지역정착지원형?창업투자 생태계 조성형?민간 취업연계형 등 3개 유형으로 추진된다. 행정안전부는 내년도에 올해 2,206억 원 보다 많은 2,441억 원을 확보 해, 청년에게 더 많은 취?창업 기회를 제공해, 국정현안인 청년실업 문제 해결에 전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경북도의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사업 내역을 살펴보면, 지역정착 지원형에 31개 사업 299억 원(중소기업 청년일자리 132억 원, 창업기업 일자리 27억 원, 청년복지 행복도우미 23억 등), 창업투자 생태계 조성형에 9개 사업 21억 원(도시청년 시골파견제 9억 원, 청년마을일자리 뉴딜 7억 원 등), 민간취업 연계형 7개 사업 6억 원(청년연구인력 3억 원 등)이다. 중소기업 및 사회적 경제기업 등에 많은 청년일자리를 제공한다. 경북형 월급 받는 청년농부 일자리와 청년복지 행복 도우미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청년농업인 일자리와 복지 분야의 일자리를 더욱 늘여 나간다.
창업투자 생태계조성형에서는 경북도의 대표적 브랜드 일자리사업인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청년마을 일자리 뉴딜사업으로 지역의 청년들을 위한 창업지원과 공동체 복원에 힘쓴다는 방침이다.
민간취업 연계형에도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한 고급인력 양성사업인 청년 연구인력 지원과 유망 벤처기업에 청년인재를 매칭하는 등 미래 일자리 구조 변화에 대응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사업을 통해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청년은 우리의 미래상이다. 지금 미래상에 희망을 심어주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같이 경북도가 앞장서서, 한국의 미래를 키우고 있다고 평가한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