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경제

홍남기호 1년, 고용·분배 선방…정책결정 과정서 존재감 ‘의문’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19.12.09 19:15 수정 2019.12.09 19:15

성장률 2% 달성도 버겁다…대외 악재에 속수무책
소통 노력에도 경제수장으로서 역할 약해

문재인 정부의 2기 경제팀을 이끌어온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취임 1년을 맞는다. 취임 초기 ‘경제정책의 종착지는 일자리 창출’이라고 말했지만 여전히 고용 상황은 만만하지 않다.
‘타다’로 대표되는 규제혁신 과제와 분양가상한제 같은 굵직한 정책 앞에서 소극적인 역할에 머물렀다는 평가도 나온다. 설상가상으로 미·중무역분쟁과 일본 수출규제 등 대외 악재가 겹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은 2% 달성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정책에 경제 원칙을 반영하려고 한 2기 경제팀의 노력은 인정하면서도 정부가 공언한 구조개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홍 부총리가 보다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필요하다면 기존 정책 방향도 과감하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고용·분배지표 일부 개선 불구 성장률 추락
“국민의 피부에 닿는 고용 및 분배지표가 어렵기 때문에 어떤 정책을 펴서라도 개선이 필요하다”
홍 부총리는 올해 대국민 신년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만큼 취임 초기부터 고용과 분배지표 개선에 대한 부담감이 컸다.
지난해 고용 지표는 참사 수준이었다. 월별 취업자 수 증가폭이 몇천 명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한 해 동안 늘어난 평균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9만7000명에 그쳤다.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8만7000명) 이후 최소치였다.
여기에 매 분기 나오는 소득분배 지표도 악화해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하지만 최근 고용·분배 지표들은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올해 1~10월 평균 취업자 수 증가폭은 약 27만6000명으로 정부의 목표치를 훨씬 웃돌았다.
10월 기준 전체 고용률은 61.7%로 23년 만에 가장 높았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7.3%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89년 이후 30년 만에 최고치였다.
다만 고용·분배 지표 개선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률 추이는 반대로 흘러갔다.
글로벌 반도체 수요 부진과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조치 등 대외 변수가 국내 경기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국제기구나 연구기관들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연초부터 하향 조정하기 시작했다.

◇ 소신 있지만 존재감 작아…구조개혁에 강한 목소리 내야

홍 부총리는 취임 초기부터 소통과 정책 조율에 힘썼다. 그가 현장에서 정책 건의사항과 애로사항을 듣는 소통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횟수만 1년 새 32회에 달했다.
경제활력대책회의로 이름을 바꾼 경제장관회의는 총 26회 진행됐으며 여기에서 각종 산업 대책과 저출산·고령화에 대비하기 위해 기재부를 필두로 꾸려진 인구정책 1기 태스크포스(TF)의 정책도 논의됐다.
홍 부총리는 버스 파업, 분양가 상한제, 국민연금 주주권행사 가이드라인 등 굵직한 현안이 있을 때는 비공식 회의체인 녹실회의에서 부처간 의견을 정리하기도 했다.
이처럼 부총리가 현장 및 부처 간 소통에 앞장섰기 때문에 정부가 시장에 던진 각종 정책이나 대안과 관련한 시그널에 혼선이 오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이 과정에서 부총리로서의 목소리와 존재감은 상대적으로 작았다는 아쉬움도 나온다.
애초 기재부는 분양가상한제가 가져올 부작용 우려를 인지하고 시행에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정책 조율 과정에서 동(洞) 단위의 분양가상한제 시행이 결정됐지만 기대한 효과와는 달리 되레 집값이 상승하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제수장인 홍 부총리가 강하게 목소리를 내지 못하면서 정책 결정 과정에 정치적인 논리가 개입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뉴스1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