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경북도 농촌관광 활성화, 2023년까지 관광객 1,000만 명 유치한다

세명일보 기자 입력 2020.02.04 18:35 수정 2020.02.04 18:35

농촌관광은 대안관광의 한 분야이다. 자연과 경관, 전통문화, 농업, 농촌생활, 역사 등을 실제로 체험한다. 관광객들에게 농산물도 판매한다. 최근엔 농촌관광을 녹색관광, 농업관광, 생태관광 등으로도 불린다.
지난 1월 농촌진흥청은 8월 29일부터 9월 25일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사는 만 15살 이상 1만 26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18 국민 농촌관광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4명이 관광을 위해 농촌을 찾았다.
이번 조사 결과 2018년 한 해 동안 농촌관광을 한 사람은 응답자 중 41.1%였다. 1인당 평균 1.6회 농촌을 관광했다. 47.1%가 도시의 일상을 탈출하여, 쉬기 위해 가족·친지(68.4%)와 농촌을 찾았다. 주로 농촌마을에 오면, 지역에서 맛 볼 수 있는 음식을 먹고(46.7%), 쉬고(45.7%), 둘레 길(17.8%)을 걸었다.
위 같은 농촌 관광의 활성화에 경북도가 나섰다. 경북도는 ‘가고 싶고 머무르고 싶고 모두가 행복한 경북’을 만들기 위한, ‘365 농촌관광 활성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슬로건은 급변하는 농촌관광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365일 경북에서 놀자’이다. 365 농촌관광 활성화 프로젝트는 2023년까지 농촌관광객 1,000만 명이 목표이다. 외국인 관광객은 15만 명을 유치한다. 다양한 상품개발, 인프라 확충, 네트워크 구축, 홍보·마케팅을 강화하는 4대전략을 마련했다.
경북도는 ‘2020년 대구-경북 관광의 해’를 맞아, 올해에는 22개 사업에 100억 원을 투입한다. 경북 농업·농촌의 특색, 자연경관, 전통문화유산, 향토음식 등을 활용한 차별화된 관광프로그램의 개발과 상품화로 연중 가능한 농촌관광 체계를 구축한다. 국·내외 관광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농촌체험관광 활성화와 6차 산업화 프로그램 운영에 19억 원을 지원한다. 새로운 소득원으로 개발하기 위한 마을축제에 3억 원을 지원한다. 숙박에서 농산물 판매까지 연계한다. 실질적인 농가소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추진한다. 농촌을 찾는 국내·외 관광객들이 농촌관광에 불편함이 없도록 편의시설과 휴식공간을 확대한다. 노후화된 시설 정비와 인프라 조성을 위해, 농촌체험휴양마을 운영활성화 기반 및 무선 인터넷 설비 구축에 16억 원을 지원해, 관광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체험마을 리더 교육 및 사무장 채용에 14억 원을 지원한다.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농어촌민박 서비스 안전교육 및 일산화탄소·가스누설 경보기 등 안전장비 설치에 2억 원을 지원한다. 지역에 산재된 관광자원과의 네트워킹으로 농촌관광의 영역을 확장시켜, 관련 산업의 동반성장과 발전을 촉진한다.
6차 산업 및 향토 산업 인적 네트워크 구축에 5억 원을 투입해, 생산·가공·체험·관광 등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역단위 네트워크 구축을 강화한다. 양질의 콘텐츠 제작으로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에 주력한다. 농촌관광 온라인 상품운영지원에 2억 원을 투입한다. 지역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및 농산물 체험·전시에 34억 원을 지원한다. 전문쇼핑몰인 ‘사이소’가 새롭게 개편된다.
김종수 농축산유통국장은 “2020년 대구경북 관광의 해를 맞아 농촌을 찾는 관광객들이 편하게 즐길 관광 인프라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위와 같은 농촌관광정책을 달리 보면, 우리 농촌은 어르신들이 농토를 지키고 있는 현장이다. 이곳에다 세금을 투입해, 관광단지를 만들어, 농촌을 도시인들의 스마트폰 사진 찍기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안 될 일이다. 농토를 지키는 어르신들에겐 빛나는 승용차를 타고, 참담한 농촌을 구경하려온다는 것도, 농촌 살리기의 입장에선, 거꾸로 가는 것이 아닌가한다.
농촌은 식량주권을 지키는 현장이다. 농촌의 공동화나 고령화부터 먼저 해결해야한다. 경북도는 이런 점도, 농촌관광정책에서 참조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