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구시의회 김정옥 의원(비례대표·사진)이 22일 열린 제31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조성된 지 20년이 지난 성서산업단지의 각종 안전문제, 기반시설 부족, 정주여건 미비 및 청년 기피 등 복합적인 문제를 지적하며 대구시의 노후산단 활성화 전략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1984년부터 조성된 성서산업단지는 지역 생산액의 50%, 수출액의 32%를 차지하며 지역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산업시설, 기반시설, 근로인력의 삼로(三老)현상과 함께 성장세 둔화, 산업경쟁력 저하 등 노후산단이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동안 추진된 재생사업이 외형적인 정비에만 치중했던 것은 아닌지 냉정하게 되짚어 보고 경쟁력을 회복할 내실 있는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성서산업단지는 지난 1984년 1차 단지 조성을 시작으로 2012년 5차 단지까지 조성된 도심 최대 산업단지로 현재 3400여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지역 산단 근로자의 40%가 넘는 약 4만 8300명이 종사하고 있다.
대구 생산액의 50%(18조 2633억 원), 수출액의 30%(2조 8500억 원)를 차지하는 명실상부 지역 ‘제조업의 심장’이다.
하지만 조성된 지 20년이 지나 각종 안전문제에 심각하게 노출돼 있고 도로와 주차장 부족으로 만성 주차난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열악한 근무환경과 문화⋅여가시설의 부재는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청년층의 취업 기피 이유가 되고 있다.
대구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 10년 동안 성서산단 재생사업에 총 479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지만 정작 입주업체와 근로자들의 반응은 달라진 게 별로 없다는 반응이다.
김 의원은 민간 투자 유치 활성화를 위해 입주업종 제한, 용도 제한에 대한 재검토, 청년이 찾고 머무르는 ‘대구형 문화산단’ 조성, 창업-제조기업 협력 생태계 조성, 산단의 친환경 전환, 노후산단 공동화에 대비한 선제적인 대응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김정옥 의원은 “청년이 일하고 싶은 공간, 기업이 투자하고 싶은 환경, 시민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단지로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성서산단이 대구 경제의 강력한 성장 엔진으로 힘차게 뛸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