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정치

대구 김재우 시의원 “가족돌봄·고립은둔 청년 증가, 전담 조직·예산 촉구”

황보문옥 기자 입력 2025.04.22 18:07 수정 2025.04.22 18:10


대구 김재우 시의원(동구·사진)이 22일 오전 열린 제31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 가족돌봄청년과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대구시의 실질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지난 2021년, 대구의 20대 청년이 치료비 부담으로 아버지를 퇴원시키고 결국 돌봄을 포기해 사망에 이르게 한 청년 간병인의 비극이 사회에 큰 충격을 줬다”며, “이후 관심과 정책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지만 제도적 대응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전했다.

이어 “전국적으로 가족돌봄 청년과 고립·은둔 청년은 계속 증가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대구시가 책임 있는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시는 지난 2023년 8월 '가족돌봄청년·청소년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으나, 현재까지 지원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이 이뤄지지 않았으며 전담 조직과 예산, 인력도 전혀 편성되지 않아 조례 이후의 정책 실행은 사실상 멈춘 상태다.

대구시는 지난해 실태조사를 통해가족돌봄청년 311명을 발굴했지만, 이 중 직접 지원이 이뤄진 대상은 18명에 불과하고 107명에게는 단순 상담이 제공된 수준에 그쳤다.

나머지 인원은 체계적인 사례관리나 자립지원이 미흡한 상황이다. 현재 대구에서 관련 사업을 운영하는 곳은 월성복지관이 유일하며 이마저도 소규모로 추진돼 실질적 발굴이나 연계에는 큰 한계가 있다.

김 의원은 “대구시가 국가 정책 흐름에 발맞춰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지원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청년미래센터 건립과 전담 인력 배치, 자기돌봄비 도입, 민·관 통합사례관리체계 구축 등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