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 안강 두류공단 산업폐기물 매립장 반대 투쟁위원회가 지난 1일 경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폐기물 매립장 추진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있는 모습<김경태 기자> |
|
경주 안강읍 주민들로 구성된 두류공단 산업폐기물 매립장 반대투쟁 위원회(이하 반대위)가 지난 1일, 경주시의 두류공업지역 산업폐기물 매립장 설치 절차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반대위는 이날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주민 수용성 확보 없는 산업폐기물 매립장 설립을 위한 모든 일방적 절차를 즉각 중단하라"며 "전국 최고 의료폐기물 소각장도 모자라 산업폐기물 매립 전국 최다 오명까지 얻을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기자회견에는 매립장 반대위 위원 및 정성룡·이강희 시의원과 주민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경주시와 반대위에 따르면 두류공단 산업폐기물 매립장 시행사인 A사는 지난달 4일 경주에 도시관리계획 입안제안서를 제출했다.
매립장 사업은 주민 반대와 환경청의 부정적 입장으로 인해 시행사가 스스로 사업을 취하했지만, 2년 만인 2023년 11월 회사 명칭만 변경해 재추진되고 있다.
특히 이 매립장은 행정 소송에서 기각됐으나 경북행정심판위원회를 통해 조건부 적합 통보를 받은 바 있다.
반대위는 "안강읍에는 옥산서원과 독락당을 비롯해 정혜사지 13층 석탑 등 수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유서 깊은 곳"이라며, "돈은 사업주가 벌고 피해는 주민이 떠안는 작금의 현실을 두고 볼 수는 없다"며 A사의 도시계획 입안 제안을 거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특히 도시관리계획이 폐기물처리시설로 변경될 경우 A사가 매립장 조성사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며, 경주시의 도시관리계획 입안제안 수용 여부에 따라 매립장 조성 여부도 결정된다고 우려했다.
한편, 경주시는 부서 협의와 도시계획위 자문 절차 때문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이미 주민 신뢰는 크게 훼손됐다는 평가다.
경주시 관계자는 "관계부서 의견과 도시계획위 자문 내용을 바탕으로 A사가 제출한 도시관리계획 입안제안 수용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주민은 경주시가 법적 하자가 없다면 조건부 승인을 내릴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반발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