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사회

대구교통공사, 저출생 인식 변화 위한 릴레이 캠페인 동참

황보문옥 기자 입력 2025.05.13 14:32 수정 2025.05.13 14:33

↑↑ 김기혁 대구교통공사 사장(왼쪽 두번째)이 저출생 인식 변화를 위한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대구교통공사 제공

대구교통공사가 지난 12일 저출생 인식 변화를 위한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하고 인구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연대와 공공기관의 책임 있는 실천을 다시 한번 다짐했다.

캠페인은 저출생 문제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기획된 릴레이 형식으로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있다. 공사는 5월 초 군위군 지목을 받아 참여하게 됐다.

그간 정책적 실천 경험을 바탕으로, 인구 문제 해결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자 적극 동참했고 다음 참여기관으로는 대구도시개발공사와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을 지목했다.

공사는 전국 최초로 저출생 및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대구도시개발공사와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과 함께 ‘공사·공단 공동 대응 협의회’를 지난해 11월에 발족하고 공동 의제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12월에 체결했다.

지난해 10월 관련 대응계획을 선제적으로 수립한 후, ‘결혼·출산·보육·돌봄·채용’ 생애주기별 정책으로 구성된 ‘저출생·지방소멸 대응 5대 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 일환으로 △미혼 직원의 자율적 교류를 지원하는 만남의 장 조성 △불임 휴직제도를 기존 1년에서 3년으로 확대해 보다 실질적인 출산 친화 환경 마련 △상생형 직장어린이집 공유제를 통해 보육 부담 완화 △지역 예술인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늘봄학교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돌봄 사각지대 해소 △지역 거주지 제한을 폐지한 채용 제도 도입으로 전국의 다양한 청년 인재가 대구에 정착하고 일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했다.

김기혁 대구교통공사 사장은 “저출생 위기는 단순히 출산율 감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반의 가치, 문화, 구조와 맞닿아 있는 복합적 과제”라며, “제도적 접근과 더불어 인식의 변화가 병행돼야 하며, 공공기관이 그 변화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