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3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한달’ 기자회견 생중계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뉴스1 |
|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빠른 취임 30일 만에 첫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대통령은 122분 동안 다양한 분야 15개 질문에 거침없이 답변하며 국정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가깝게·새롭게·폭넓게'라는 회견 콘셉트에 맞춰 대통령과 기자 사이의 거리를 파격적으로 좁히며 전례 없는 소통 방식도 시도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낮 12시 2분까지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한다'는 주제로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 대통령의 '직접 소통'의지는 회견장 곳곳에서 나타났다. 대통령실은 권위는 낮추고 거리는 좁히기 위해 기존 연단을 없앴다. 대통령과 기자의 거리는 불과 1.5m로 배치됐다. 회견 방식도 청중과 둘러앉아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타운홀 미팅' 방식을 택했다.
질문 방식도 새로웠다. 언론과 사전 질문 조율은 없으며 회견장 입장 시 매체별로 제출한 명함을 기자단 간사가 무작위로 추첨해 질문자를 선정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주택 추첨 아니냐"며 웃어 보였고 질문자로 선정된 한 기자는 "제가 원래 이런 운이 안 좋은데 오늘을 위해서 그동안 운이 안 좋았던 것 같다"고 답하기도 했다. '폭넓게'를 목표로 한 만큼 대통령실 출입 기자 외에도 지역 풀뿌리 언론이 미디어월을 통해 비대면 질문을 했다.
이 대통령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에 앞선 모두발언에서 '국민'을 약 23번 언급하며 자신이 국민의 공복임을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도 우리 정부의 확고한 원칙은 오직 국민"이라며 "증명의 정치와 신뢰의 정치로 국민의 간절한 염원에 응답하겠다"고 했다.
취임 한 달의 아쉬움과 함께 앞으로의 각오도 다졌다. 그는 "인수위원회 없이 시작하니 어려움이 많지만 할 것은 하고 있다"며 "주변 참모진이 코피를 쏟고 핼쑥해지는 것을 보면 미안하긴 하지만 공직자가 피곤하고 힘든 만큼 5117만(인구수) 배 효과가 있다는 생각으로 견뎌달라 부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하루가 24시간이 아니라 30시간이 되면 어떨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고 말하자 참모진들은 웃으며 고개를 절레절레 젓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2일) 공개 일정을 잡지 않고 대통령실 참모들과 회견 준비에 매진한 만큼 일문일답에서 막힘없이 답을 이어나가기도 했다. 그는 부동산 문제에 대해 "새로운 신도시를 만들 것이냐가 최근 논쟁인 것 같다"며 "이런 질문을 할 것 같아 미리 답변을 드린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의 '솔직함'도 눈에 띄었다. 이 대통령은 '수도권 집중' 등 지역 균형 발전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옥천이 엄청나게 좋아질지는 모르겠다"면서도 "옥천을 포함한 소멸 지역에 대한 각별한 대책은 계속 구상하고 집행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또 이 대통령은 외신 기자의 질문에 "전혀 알아들을 수가 없다"고 웃어 보이기도 했고 '차별금지법'질문에는 "질문을 받지 말 걸 그랬다"며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이 대통령 답변에 따른 대통령실 참모진 반응도 눈길을 끌었다. 이 대통령이 검찰개혁에 대해 답할 때 봉욱 민정수석은 분주히 수첩에 메모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외교·안보 분야 답변이 나올 때 긴장하며 이 대통령의 말을 경청했다. 특히 이 대통령이 "휴가를 가겠다"고 얘기하자 참모진은 활짝 웃으며 격하게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부동산 △지역 균형 발전 △의정갈등 △여야 협치 및 통합 △검찰 개혁 △한미 관세협상 △민생회복지원금 등에 대해 질문을 받았고 답변했다.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