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출직 공직자 최대 목표는 지역의 균형발전이다. 이때부터 주민의 행복 추구가 제대로 된다. 이의 큰 밑그림은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이다. 이는 국비확보에 전적으로 달렸다. 국비가 해당 지역에 알맞게 제대로 확보가 될 때에만, 그 지역은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다시 태어난다. 기업하기 좋은 지역은 일자리 창출로 인구가 증가한다.
국비가 한번 확보되면, 그 도시는 미래를 향해 전진한다. 현재에서 미래까지 먹을거리를 안전하게 장만한다. 국비를 확보함에는 단체장 능력에도 달려있지만, 해당지역의 특화된 사업도 큰 역할을 담당한다.
지금 경북도 2개 시·군 주민 초미의 관심사는 국비확보다. 경북도에 따르면, 내년 국비 확보 목표액인 12조 3,000억 원 달성을 향해 순항한다. 새 정부 출범으로 국비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 됐으나,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경북의 주요 현안 사업이 많이 반영된다. 더하여 지역 발전을 이끌 핵심 동력이 마련됐다.
정부 예산안에는 지역 사업에 국한되기보단 대한민국 미래 비전을 담은 국가적 프로젝트 예산까지 폭넓게 반영됐다. 향후 지역 균형발전과 신성장 산업 육성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경북도가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온 성과다. 지역경제 활력 제고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무엇보다 이철우 경북 도지사가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주요 도정 현안을 앞장서서 챙겼다. 이재명 대통령과 경제부총리, 국회 등에 주요 정책과 예산 사업을 직접 건의하고 설명했다. 마지막 정부예산 반영에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한다.
경북도는 포스트 에이펙(APEC) 레거시 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한다. 다보스포럼이 모델이다. ‘세계경주포럼’에 15억 원을 확보했다. 에이펙(APEC)성공 개최 이후 새로운 역사·문화·관광과 지역 발전의 기반을 마련했다. 앞으로는 APEC성공 개최를 토대로 국회 심의 과정에서 특위 등을 적극 활용한다.
행사장 관광 인프라를 정비한다. 에이펙(APEC) 기념 역사유적공원 조성 등 신규 및 증액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건의한다. ‘산불피해 특별법’ 제정과 조속한 복구 지원을 소관 부처와 기획재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한 결과다.
산불 피해목 제거 사업에 200억 원을 확보했다. 산불방지대책은 96억 원이 반영돼, 주민 생활 안정과 산림 관리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지역 균형발전과 성장 동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간접자본 사업은 남부내륙철도(김천~거제)에 2,600억 원이다. 포항영일항만 복합항만 개발에 1,112억 원이다.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 건설 285억 원이 각각 반영 됐다. 울릉공항 건설에 1,149억 원이 반영돼, 동해안과 내륙, 도서 지역을 아우르는 전 방위 교통 인프라 확충이 본격화한다. 미래 원전시장을 선점해, K-원전 재도약을 이끌기 위한 핵심 사업인 혁신형 소형모듈 원자로 기술개발사업에 636억 원이다. SMR 제작지원센터 설립 26억 원 등이 반영됐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읍·면 단위 LPG 배관망 구축사업에 204억 원이다. 수소연료전지발전클러스터구축은 131억이다.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에 917억 원이다. 수리시설 개보수사업에 850억 원이다. 울진 금음지구 연안정비사업에 146억 원이다.
문화·환경 분야는 수관로·처리장에 3,075억 원이다. 국가지정문화 유산보수엔 500억 원이다.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 정비 사업엔 200억 원이다. 사회·복지·저출생 대응분야엔 경북장애인가족공립복합힐링센터건립 60억 원이다. 가족센터건립 13억 원 등이 포함됐다. 미래 세대를 위한 새로운 일자리와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이철우 경북 도지사는 국가예산 확보에 모든 힘을 다한다. 국비확보엔 이철우 경북 도지사의 힘만으론 역부족한 부분도 있을 게다. 지역 출신 정치인이 앞장서야 한다. 경북도와 지역의 선출직 정치인은 이번 기회에 제대로 된 능력을 발휘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