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사설

자살로부터 안전한 마음건강

홈페이지담당자 기자 입력 2023.11.01 07:48 수정 2023.11.01 07:48

경북, 생명안전망 구축한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높은 것은 빈부에 그 원인을 찾을 수가 있다. 서구 선진국은 산업화에 따른 공업화로 가는 것이 대개 200년 정도로 본다. 이를 우리는 단박에 대개 60년대 초반부터 더욱 심화됐다. 이게 넘을 수가 없는 빈부격차를 만들었다.

한국집단상담학회 전종국 회장(대구사이버대 교수)도 우리 사회의 자살이 많은 이유에 대해 개발시대에서는 짧은 기간 급속한 성장(40-50여 년)과 성장의 가속화만큼, 빈부격차와 기득권의 확대 등 상대적으로 극심한 양극화에 따른 삶에 대한 실망과 좌절이라고 진단했다.

가난한 사람들은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하는 바람에 가진 것 없는 하층민서, 탈출구가 없다. 이게 바로 생계형의 자살을 부르고 말았다. 여기에다 개천에서 용이 나지 않는다는 것에도 하나의 원인으로 짚을 수가 있다.

지난 4월 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10년 주기인 정신건강 검진을 2025년부터 2년 주기로 단축했다. 기본계획은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2021년 26.0명에서 2027년 18.2명으로 30% 줄이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자살자 수는 1만 3352명에 달한다. 2021년 한국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는 OECD 표준인구로 보정하면, 23.6명이다. OECD 회원국 중 평균(11.1명)의 2배를 훌쩍 넘는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 국민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지난 2019∼2021년 기준으로 집계한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9점에 불과했다.

2022년 교육부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년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초·중·고 학생은 630명이었다. 국가 간 연령표준화 자살률로 환산할 경우 22.6명으로 OECD 국가 평균 10.6명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가장 낮은 그리스(3.9명)에 비해 5배 이상 높다. 이웃 일본(15.2명)보다 1.5배 높은 수치다. 이 정도면, 한국은 자살공화국의 불명예를 안을 만하다. 정부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연간 450억 원의 자살 예방 예산을 투입했다.

자살 사망자 수가 많은 40대, 50대의 경우는 사회적으로 더 큰 영향을 끼친다. 자살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이 약 5조 4,000억 원인 점을 고려해 볼 때, 사회 중추적 역할을 하는 40, 50대의 자살은 다른 연령층보다 더 많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2022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하루 평균 40대 6.3명, 50대 6.7명 연간 4,808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자살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이 약 5조 4,000억 원인 점을 고려해 볼 때, 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40, 50대의 자살은 다른 연령층보다 더 많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한 사람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사람은 최소 5~10명이다.

가정의 경제 주체인 40, 50대의 자살은 심리적 어려움에다 경제적 어려움까지 더해, 자살 유족에게 복합적 문제 발생의 위험이 있다. 송파구·김포, 대전 유성구, 전남 영암군 등 잇따라 발생한 일가족 사망사건 등에서 보듯, 생계를 책임지는 40, 50대 가장의 자살은 죽음에 앞서 다른 가족을 먼저 살해 후에, 자살이라는 극단적으로 왜곡된 형태가 나타난다. 한국집단상담학회 전종국 회장에 따르면, 40, 50대의 자살이 늘어나는 이유는 치열한 경쟁 속에 노력했지만, 더 이상 지위나 상승의 가능성이 사라졌다는 절망과 자책감, 우울감을 많이 느끼는 나이가 40, 50대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경북도에서는 ‘자살로부터 안전한 마음건강 경북 조성’이라는 목표를 설정했다. 생명안전망도 구축했다. 지역 맞춤형 자살예방 사업 추진으로 자살률 감소에 노력했다. 자살문제는 사회가 책임을 져야한다. 여기에다 광역단체가 나선다면, 마음의 건강에서 몸의 건강까지로 성취 할 수가 있을 게다. 경북도의 노력으로 마음 건강마을을 조성하여, 한국의 자살률이 0%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세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